'청와대 비서관의 권력 사유화' 발언으로 이명박 대통령 측근들 간의 갈등을 촉발시킨 한나라당 정두언 의원이 9일 청와대 박영준 기획조정비서관을 거듭 공격하고 나서자 박 비서관이 즉각 사표를 제출하는 등 파장이 확대되고 있다. 정 의원이 궁극적으로 노리는 것은 무엇일까.
문제의 발언 이후 언론과 접촉을 끊었던 정 의원이 이날 오후 열린 한나라당 의원총회에 나타나 신상발언을 통해 "인사실패의 책임자들이 거취를 결정해야 한다"며 박 비서관 등의 퇴진을 공개적으로 주장했다. '권력투쟁' 또는 '권력 소외에서 비롯된 개인적 불만의 표출이자 몽니'라는 여권내의 비판이 만만치 않은 상황이었지만 물러서지 않았다.
그는 이날 의총 발언에 이어 자신과 가까운 의원들에게 자신의 입장을 설명하면서 "우리가 도망갈 수는 없다. 스스로 냉정히 생각해 문제 제기를 했으니 관철될 때까지 나가야 할 것"이라고 '정면돌파'의 각오를 다지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의원의 거듭된 공격과 박 비서관의 퇴진을 계기로 정 의원 발언파문은 제2라운드에 돌입하는 양상이다.
정 의원이 개인적인 불만표출이라는 자신에게 쏟아지는 비판을 감수하면서도 청와대 등 권력핵심을 흔드는 것은 궁극적으로 이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의원을 겨냥하고 있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정 의원이 비서관 한사람을 퇴진시키기 위해 이 같은 모험을 감행하지는 않았을 것이란 관측이다.
정 의원이 언론에 지목한 C비서관은 이상득 의원의 국회부의장 재직시 1급 비서관으로 일했던 장다사로 청와대 정무1비서관으로 알려졌다. 사표를 제출한 박 비서관은 이 의원을 10년 이상 보필했다. 이처럼 청와대에 포진하고 있는 이 의원의 수족들을 차례로 겨냥하고 있는 정 의원은 초대 내각과 청와대 인사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알려진 이 의원이 '상왕정치'를 계속할 경우 자신의 입지가 위태로워진다는 판단을 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미 그는 지난 4·9 총선 과정에서 이 의원의 공천반납을 요구하고 나선 '55인 선언'을 막후에서 이끌면서 한차례 '친위쿠데타'를 시도했다가 실패한 경험이 있어 이 의원이 버티고 있는 한 자신의 정치적 미래는 없다는 생각을 굳힌 것 아니냐는 것이다.
한편 당 안팎에서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인선을 좌지우지하다시피 한 정 의원이 정권이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같은 정권 공신들을 향해 칼을 빼든 것은 결국 '권력투쟁을 포장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