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문제 해결 없이는 개성공단 확대 어렵다"는 김하중 통일부장관의 발언을 구실로 북측이 도발을 시작했다. 개성에 상주하는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의 우리 당국자에게 나갈 것을 요구해 민간기관 실무자를 제외하고 어제 11명이 철수한 것이다. 황당한 일이지만 원칙과 실용을 강조하는 새 정부의 대북 정책에 불만을 가진 북측의 적극적인 대남 공세로 간주해 차분히 해결책을 모색하면 될 일이다.
2005년 남북 합의로 개설한 경협 사무소는 대북사업이나 투자상담 창구 역할을 하는 상설기구다. 북측이 이 사무소를 화풀이 대상으로 삼은 것도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2006년 북측의 미사일 발사로 우리 정부가 쌀'비료 지원을 중단하자 북측 요구로 4개월간 철수한 전력이 있다. 이를 감안하면 이번 철수 요구도 북측의 제한적인 실력행사에 그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관건은 개성공단으로 파문이 확산되는 것이다. 다행히 개성공단은 아직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고 있다고 한다. 69개 남측 기업들이 진출해 있는 개성공단에는 현재 북한 근로자 2만4천명이 일하고 있다. 개성공단 투자가 북측에 어떤 이익이 되는지는 누구보다도 북측이 더 잘 안다. 특히 이번 조치가 경협사무소 당국자의 철수만을 요구한 점 등을 고려하면 북측도 앞뒤 계산쯤은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번 사태가 정치적, 군사적 공세로 확대되는 것을 남북 모두 경계해야 한다. 지금 북측의 내부사정은 남측 투자기업을 볼모로 호기를 부릴 만큼 한가하지 않다. 따라서 정부는 추이를 지켜보며 적당히 북측의 명분을 살려주는 등 의연한 대응법이 필요하다. 터무니없는 공세에는 단호하게 대처해야 하지만 매듭을 풀겠다고 섣불리 나서는 것은 북측으로 하여금 그릇된 판단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