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11일 외교통상부 업무보고에서 향후 실용외교의 키워드로 '국익(國益)'을 내세우며 모두 발언에서 8차례나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한국 외교를 철저한 '국익'을 위주로 해서 실용주의 외교로 가야한다고 생각한다"며 "친미(親美)도 친중(親中)도 없다고 생각한다. '국익'이 서로 맞으면 동맹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국익에 위배되면 오늘 시대에 동맹이란 것은 없다. 미국도 국익에 위배되면 한국과 동맹관계를 유지하려 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중국과 한국의 관계도 서로 국익을 유지하며 어떻게 하면 좋은 관계를 맺을 것인가. 일본도 마찬가지다. 서로의 국익을 위해 조화시키고 맞추는 것이 국가 간 외교해야 할 일이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그동안 대한민국 외교의 '친미', '반미' 등의 논쟁에도 국익을 앞세워 일침을 놨다. 그는 "'친미다, 반미다' 이런 것을 가지고…, 외교부 내 그런 분위기가 있다면 21세기에 맞지 않다"며 "철저한 국익 위주, 실용외교로 나갈 때 우리는 그 한도 내에서 동맹을 맺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업무보고 후 토의 시간에도 이 대통령은 '국익' 관점에서 자원 외교를 '북핵'보다 더 우위에 뒀다. 이 대통령은 "자원 외교가 이뤄지는 지역의 외교관 근무 기간은 보통 2년 반 정도인데 이 정도로 실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하자,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이 "현지 인력 활용에 관련한 실질적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외교통상부는 자원 외교를 뒷받침하는 구체적인 방안으로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중남미, 동남아 등 자원 부국과의 정상 외교를 통해 '에너지 협력 벨트'를 구축하는 방안도 보고했다. 현재 러시아·사우디아라비아 등 32곳에서 운영 중인 에너지·자원 거점 공관도 50개로 늘린다는 방침이다.
권성훈기자 cdro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