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최대 공약의 하나인 경부운하 건설의 중심에 위치한 성주는 최근 김천~현풍 중부내륙고속도로 개통으로 이른바 '고속도 시대'를 맞이한 데 이어 성주~왜관 국도 확·포장 등으로 사통팔달의 교통망을 갖춘 도시로 탈바꿈하고 있다.
이 시점에 경부운하가 건설되면 낙동강 연안과 10㎞를 접하고 있는 성주는 새로운 발전동력이 생겨 제2의 전성기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이에 부응해 성주군은 성주읍 학산리 인근에 85만㎡ 규모의 일반산업단지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경북도 개발공사와 투자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도 지정 승인신청을 한 상태로 올해 중 실시설계를 끝내고 내년 공사에 들어가 2010년 준공예정으로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이 공단이 농업위주의 지역 산업구조에서 농·공업이 균형있게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 줄 것으로 주민들은 바라고 있다.
이곳에 기계·전자·자동차 부품 등 친환경·최첨단 업종을 유치해 대구·구미 공단과 연계한 지역 특화산업으로 육성 발전시키면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또 낙동강을 끼고 있는 성주의 지리적 이점을 최대한 활용, 경부운하 건설에 맞춰 추진사업단(T/F)을 이미 구성했으며 경북도가 추진하고 있는 낙동강 프로젝트 사업과 연계한 개발계획 마련에 힘을 쏟고 있다. 선남면 일대에는 600만㎡ 규모의 '자족형 휴먼 신도시' 개발이 구체화되고 있다.
여기에는 타운 하우스 등 친환경적 주거단지와 함께 휴양·레포츠단지는 물론 친환경적 미니산업단지 등도 고려하고 있다. 또한 선남면 선원·소학리 1만5천㎡에 성주여객터미널을 유치하고 국가산업단지와 물류단지 등을 조성해 인구증가를 바탕으로 한 지역발전의 토대로 삼는다는 청사진을 갖고 있다.
명품 성주참외의 명성을 지키고 경쟁력을 한층 더 높이기 위한 노력도 배가하고 있다. 지난해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농산물산지유통센터가 문을 열었으며, 앞으로 3년간 제2기 신활력사업에 따른 참외 직판장 개설, 농가형 퇴비제조시설 및 성주형 참외하우스 보급 등 참외 홍보 및 생산력 향상사업에 집중 투자하게 된다.
아울러 세종대왕 왕자태실과 지난해 전통민속마을로 지정된 한개마을을 소재로 한 생(生)·활(活)·사(死) 프로젝트와 조선시대 4대 사고의 하나인 성주사고를 복원해 문화전통의 성주를 재조명하는 등 역사 및 자연자원을 활용한 특색있는 관광자원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새 정부는 그동안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자체에 대한 재정지원 등을 확대하고 각종 개별법으로 묶인 환경·산림 등 국토이용계획 관련 법규 등을 탄력적으로 적용, 지역발전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제도개선을 해 줄 것을 희망한다.
이창우 성주군수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