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세계 이동전화 시장에서 서비스 테스트베드 역할을 하고 있다. 2005년에는 위성 DMB(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상용화, 2006년 초에는 세계 최초로 지상파 DMB, 6월에는 세계 최초로 HSDPA(고속하향패킷접속식 3.5세대 이동통신 기술), 와이브로 상용화를 시작했다.
또 통신과 방송, 유선과 무선의 결합은 물론 산업 간 컨버전스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고, 이동전화 가입자의 90% 이상이 3G(세대)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기를 갖고 있을 만큼 이동통신기술 발전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은 'IT 컨버전스'를 일류국가로 도약하는 핵심 엔진으로 활용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디지털 제품 또는 기기 간 융합만을 뜻하는 '디지털 컨버전스'는 하나의 모바일 기기에 카메라, 게임, 멀티미디어, DMB, 와이브로 등의 다양한 기능이 집중되는 '모바일 컨버전스'로 바뀌었다.
또 국내 전자업체들도 독자적인 콘텐츠와 서비스에 눈을 돌리고 있다. 즉 컨버전스가 기능복합에서 서비스결합으로, 업종 간 융합으로 바뀌고 있는 추세인 것이다.
컨버전스 가속화로 고객은 더욱 개인화된 서비스와 더 편리한 단말기를 요구하고 있으며 대구·경북은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그간 경쟁적으로 준비해오고 육성해왔던 모바일산업을 모바일 컨버전스산업으로 전환해야 한다.
'지식창조형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이 지난 연말 지정됨으로써 지역 경제활성화는 물론 지역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게 됐다. 이에 대응해 모바일 컨버전스 클러스터 구축과 관련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한 구미와 대구는 물론 노키아의 생산기지가 있는 마산, 창원을 묶는 동남권 초광역 모바일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모바일 특구를 추진해야 할 것이다.
모바일 분야에서 타 지자체보다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대구경북에 분산되어 있는 기능별 모바일산업의 역량을 결집해 나가는 동시에, 중앙정부와 모바일 기업의 시각에서 우리 지역이 세계적인 모바일 산업단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대구경북이 공동으로 협력하고, 역할 분담해 글로벌 모바일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서 모바일 컨버전스 산업을 육성해야한다.
이문희(대구경북연구원 신산업팀 연구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