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전석탑에 서린 원효대사 대중불교의 염원
희망이 없는 삶은 살아도 산 목숨이 아니다. 간절한 염원은 생명의 기운을 샘솟게 하고, 생명은 만물을 소생시킨다. 경주 분황사는 계절에 상관없이 이상하게 아늑한 기운과 함께 세상을 아름답게 변모시키는 생명의 힘을 지닌 절이다. 자장율사, 원효대사, 솔거, 설총, 관세음보살과 인연을 품은 절이어서 그럴까? 신라불교를 진흥시키고, 불력으로 외침을 막으려고 했던 향기로운 여왕 선덕여왕의 염원이 서린 분황사(芬皇寺)에 서면 어디선가 향내가 실려온다. 분황사 경내에 모아둔 석재들로 미루어 "분황사 탑돌이를 하면 새로 삼은 짚신이 다 떨어질 정도였다."는 얘기가 괜한 말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사역을 밝히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분황사는 얼굴을 마주 대고 서있는 황룡사처럼 절의 거의 모든 것을 세월 속에 잃어버렸지만, 흔들림없이 늠름한 자태로 모든 이들에게 희망가를 불러준다.
◈ 분황사는 희망을 주는 절
분황사는 앞이 보이지 않는 아이에게 광명을 되찾아준 절로 유명하다. 신라 제35대 경덕왕 때의 일이다. 한기리에 사는 희명(希明)이라는 사람의 아이가 난 지 5년 만에 난데없이 앞이 보이지 않았다. 희명은 세상이 캄캄해졌다. 천지를 모르고 뛰어놀던 우리 아이가 시력을 잃다니, 내가 전생에 무슨 큰 죄를 지어 이렇게 업보를 받나? 이게 무슨 업보인가? 희명은 무너지는 억장을 안고 분황사를 찾아 노래불렀다.
"무릎을 곧추세우며/두 손바닥 모아/천수관음께 비옵니다/즈믄 손 즈믄 눈/하나를 놓아/하나를 더옵기 둘 없는 내라/하나로 그윽히 고쳐질 것이외다/아아 나에게 끼쳐주시면/놓되 쓸 자비가 얼마나 클까요"
화성(畵聖) 솔거가 그린 관세음보살 벽화가 있던 분황사를 찾아 희명은 간절히 빌고 또 빌었다. 즈믄 손 즈믄 눈(천수천안)으로 지닌 관세음보살은 세상의 모든 병을 낫게 해준다고 하지 않았는가? 특히 당시 신라사회는 솔거가 그린 관세음보살이 있는 분황사에서 소원을 빌면 그 소원을 이룬다고 믿고 있었다. 분황사의 천수천안 관세음보살을 향해 희명은 신라 향가 '도천수관음가'(禱千手觀音歌)를 불렀다. 궁즉통인가? 천수천안 관세음보살이 희명의 애타는 심정을 굽어살폈음인가? 희명의 아이는 씻은 듯이 나았다. 다시 한번 분황사는 희망을 주는 절로 신라인들의 가슴 깊숙이 새겨졌다. '삼국유사'(분황사 천수대비맹아득안조)와 '삼국사기'(솔거전)가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 기도하는 설총을 돌아다보는 원효 고상
분황사는 선덕여왕 3년(634)에 창건된 절로 돌을 마치 벽돌처럼 깎아서 차곡차곡 재어 만든 모전석탑(국보 제30호)이 남아있다. 첨성대를 세워 천문을 관찰하고, 황룡사 9층목탑을 지어 아홉나라 오랑캐의 항복을 빌던 선덕여왕은 분황사를 지어 자장율사에게 맡겼다. 당시 당나라에서 화엄경을 강설할 정도로 고승이던 자장은 여왕의 명을 받들어 귀국했다. 국제정세에 밝아서 신라 교단을 탁월하게 이끌어간 '화엄경소'와 '금강명경'등을 쓰면서 화엄철학을 정립한 원효대사가 분황사를 거쳐갔다. 원효는 사변으로 치닫던 신라 귀족불교를 만백성을 위하는 중생구제의 불교로 물꼬를 튼 장본인이다. 머리로 생각하고, 손에 물 튕기고 사는 소수 귀족들의 품에 머물던 불교를 인간의 고뇌를 해결하기 위한 대중불교로 방향전환시킨 대중불교의 선각자이다. 원효의 독창성과 실천력이 배어있는 해동종(또는 분황종)이 여기서 생겨났다. 그래서 매년 음력 3월 그믐날에 분황사에서 원효대제를 드리고 있다. 원효대사가 요석공주와 세속인연을 맺어서 경산 사라사에서 낳은 아들 설총은 열반한 원효대사의 유해를 부수어 찰흙으로 빚은 소상(塑像)을 만들어 분황사에 모시고 항상 예를 올렸다. 설총이 예를 올릴 때마다 소상은 고개를 돌려 돌아보았다고 해서 '고상'(顧像, 돌아보는 상)이라고도 불리었다. 이 소상은 일연이 삼국유사를 쓰던 고려말까지 분황사에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행방이 묘연하다.
◈ 사리함 속에서 발견된 금바늘과 은바늘
분황사 석탑은 안산암을 벽돌처럼 다듬어 쌓은 특이한 석탑이다. 마주보고 서있던 82m 높이의 황룡사 9층 목탑처럼, 분황사 모전석탑도 9층으로 추정되는데, 지금은 3층만 남아있다. 석탑의 한쪽면만 7m에 이를 정도로 큰 규모를 지녔다. 1층 탑신의 사방 중심에는 감실을 만들었다. 감실 양옆에는 장방형의 돌을 세워 붙이고, 반나체의 금강역사상을 조각하였다. 원래 동서남북 4면 감실 입구에 선 8체의 금강역사는 옷의 무늬가 다 다르고, 얼굴은 분노상이며, 머리에는 음각의 광배가 있으나 세월에 닳고 달아서 금강역사가 입을 벌렸는지, 다물었는지 얼핏 봐서는 알아보기 어렵다. 탑 기단 네모서리에는 돌사자가 조각되어 있다. 탑층은 상부로 올라갈수록 알맞게 작아져서 거대하지만 균형감을 지니고 있다. 지성적인 느낌을 주는 잿빛 어두운 안삼암 돌벽돌과 대비되도록 감실 부분은 밝은 화강암으로 짜서 분노하는 모습의 힘찬 금강역사상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1915년 분황사 탑을 수리하자 2층과 3층 사이에서 사리장치가 발견되었다. 사리함 속에는 옥류, 가위, 금바늘, 은바늘과 함께 숭녕통보와 상평오주(고려 숙종 예종 연간의 화폐)가 들어있었다. 이를 보면, 고려시대에 분황사 탑을 해체 수리하면서 창건 당시의 사리함 속에 고려의 동전을 추가하여 넣은 것임을 알 수 있다. 가위 금바늘 은바늘은 여인의 물건인데, 사리함 속에 들어있는 것으로보아 아마도 선덕여왕이 넣은 것이 아닐까 싶다.
◈ 호국룡이 살고 있는 팔각정 우물
1991년 분황사터를 발굴한 결과, 고구려 사찰과 같이 품자형 금당배치를 하고 있었다. 이 절터에서는 고구려의 연꽃무늬 막새가 출토되었으며, 탑의 건축에 사용한 자도 고구려시대의 것이었다. 분황사에는 3층 모전석탑을 지나면 보광전 가기 전에 팔각정 우물이 있다. 샘에는 호국룡이 살고 있다는 설화가 있어 호국정이라고도 한다. 이 샘의 물은 아직도 정갈하다고 하나, 마시지는 않는다. 1914년 분황사 뒤뜰의 우물 속에서 8세기에서 9세기에 이르는 석불 14체가 발견되어 지금 경주박물관 뜰에 진열되어 있다. 모두 목이 부러진 불상이다. 서쪽을 보고 있는 약사전(보광전)은 조선시대 불전이다. 안에는 원효대사 초상도 있다. 이 불전 뒤 밭 속에는 통일신라시대 석불 1구가 놓여있다. 지금 승방으로 지어놓은 동편 건물 앞에는 통일신라시대 초석들이 묻혀있는 건물터이며, 절 사역이 엄청났을 것으로 짐작된다. 승려들이 탑돌이를 하면서 새 짚신을 신고 도량을 돌고나면 너덜너덜해졌을 정도라는 분황사의 사역이 제대로 발굴되고, 재조명되어서 현대인들에게 희망을 줄 그날이 기다려진다.
글·최미화기자 magohalmi@msnet.co.kr 사진·정우용기자 vin@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