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98년 영국이 인도와 교통하는 길을 차단하기 위해 시작한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에서 고고학사에 길이 남을 중요한 유물이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다. 기원전 196년 마케도니아 귀족 출신 이집트 왕 프톨레마이오스를 찬양한 공덕비인 '로제타 스톤'이다. 하지만 프랑스군은 이 비석과 함께 약탈한 수많은 이집트 유물들을 영국군에 고스란히 빼앗기고 만다. 프랑스군의 약탈품이 영국군의 戰利品(전리품)이 된 것이다.
전쟁에서 이긴 로마군이 개선할 때 행진의 선두에 내세운 것은 전쟁을 승리로 이끈 지휘관이 아니라 포로와 노획한 전리품이었다. 전리품은 승리의 상징이었기 때문에 그만큼 중요하게 취급됐다는 증거다. 하지만 전리품은 패자의 입장에서는 치욕의 상징이다. 고구려 영양왕 때 수나라와의 전쟁에서 이긴 후 세운 전승기념탑 '京觀(경관)'은 그 대표적인 사례라 하겠다. 포로나 금은보화처럼 당장 요긴하게 쓸 수 있는 재물이 아니라 수많은 적의 목을 베어 쌓아 놓은 것이다. 고구려 영류왕이 당나라의 요구에 따라 경관을 허문 것도 중원 사람들이 이를 얼마나 치욕으로 받아들였는지 알 수 있다.
1871년 신미양요 때 미 해군에 빼앗긴 어재연 장군(1823~1871)의 장수기가 최근 귀환했다는 소식이다. 전리품으로 태평양을 건너간 지 136년 만에 다시 돌아온 것이다. 당시 강화 광성진을 수비하던 600여 명의 조선 군졸들은 로저스 제독이 지휘한 1천여 명의 미 해군과 전투를 벌였으나 어재연 장군 형제를 비롯, 300여 명이 전사하고 '帥(수)'자를 새긴 장수기를 빼앗겼다. 그동안 미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에 보관돼 오다 이번에 10년간 장기 임대 형식으로 되돌아왔다.
이 장수기가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는 후세 사람인 우리가 쉽게 짐작할 수 없지만 당시 조선에 국기가 없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장수기는 조선이라는 나라와 주권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장수기 귀환에 힘을 보탠 미국인 토머스 듀버네이 한동대 교수의 증언은 새겨들을 만하다. "마치 포로처럼 둘둘 말아서 박물관 바닥에 내려놓은 기를 보고 놀랐다. 장수기는 미 해군의 용기를 상징하는 전리품일지 모르지만 그 깃발 아래서 전사한 조선 병사들의 용기의 상징이기도 하다." 전리품이 부끄럽고 쓰라린 역사의 결과물이지만 이에서 얻는 교훈은 결코 작지 않다.
서종철 논설위원 kyo425@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