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윤재 전 청와대 비서관의 비호 의혹을 받고 있는 부산지역 건설업자 김상진 씨의 비리 의혹이 갈수록 확산되고 있다. 금품 로비, 특혜 금융, 비자금 조성 등 갖가지 정황들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정상곤 전 부산지방국세청장 등에게 뇌물을 제공한 기왕의 비리 외에도 자신의 사업 관할 구청인 부산 연제구청장에게 억대의 금품 로비를 시도한 사실도 드러났다.
검찰은 이처럼 감자알처럼 줄줄이 이어지는 각종 의혹들을 애초 외면하려 했다. 정 전 비서관을 참고인 조사조차 하지 않았다. 비판을 받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이제부터가 중요하다. 검찰은 김씨가 연산동 재개발 사업 과정에서 빼돌린 157억 원의 비자금 사용처에 대한 추적수사를 본격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방위 수사가 필요하다.
김상진 형제의 행적으로 볼 때 정 전 비서관이 아무 대가 없이 지방국세청장을 소개하고 식사자리에 동석까지 했을 것으로 믿는 사람은 별로 없다. 또 김 씨 사업의 고속 성장 과정을 볼 때 사업 확장을 위한 광범위한 교제와 로비가 있었을 것임을 추정하기 어렵지 않다.
예단할 일은 아니지만 현 정권의 고향인 부산은 김 씨가 권력층에 접근하기 쉬운 곳이다. 때문에 부산에선 권력 핵심부뿐 아니라 현지 출신 전'현직 국회의원 3~4명과 자치단체장, 지방의원 2~3명이 김씨의 비리에 연루됐을 것이라는 소문이 나돌고 있다고 한다.
사건과 수사를 정권 말기의 권력 누수 현상으로 치부해선 안 된다. 부정부패, 특히 권력형 비리는 집권 초기, 말기와 무관하게 뿌리 뽑아야 할 범죄일 뿐이다. 검찰은 차기, 차차기 정권에도 교훈이 되게 철저한 수사로 전말을 밝혀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