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남부선 철도의 경주 강동면 구간 새 노선을 둘러싼 갈등에 어제 해소의 기틀이 마련됐다. 복선전철화와 함께 추진된 노선 변경으로 기존의 형산강변 선로를 버리고 직선화키로 한 게 갈등의 씨앗이었다. 그러자니 노선은 무리하게 인동리라는 오래 된 마을을 관통토록 설계됐고, 누가 봐도 당연할 반발이 거세게 일었다. 그런 갈등 상황을 돌파해 낸 것은 국민고충처리위원회였다. 어제 현장 조정회의를 열어 마을 관통을 포기시키는 대신 그 인근을 터널로 통과토록 제안, 합의를 이끌어 낸 것이다.
이번 일은 사회 갈등에 정부기관이 개입해 성공적으로 조정해 낸 사례라 할 것이다. 우리 사회엔 그런 조정을 필요로 하는 사안이 숱하니, 영천∼상주간 고속도 문제도 그 중 하나이다. 이 고속도는 경부고속도의 영천∼대구∼구미∼대전∼청주 구간과 평행해 그 동북 지역을 영천∼상주∼청주로 이어 달리도록 구상된 것이다. 하지만 영천시청 등은 현재 대구에 가깝게 그어져 있는 계획선을 더 동북쪽으로 옮겨 달라고 요구 중이다. 지역 발전에 꼭 필요하다고 했다. 최근엔 경북 9개 상공회의소까지 나서서 동조하는 건의문을 제출했다. 반면 민자사업자인 대림산업 측은 노선이 5.5km 늘어나 공사비가 1천 억 원(5%)이나 증가한다며 반대한다고 했다.
이런 사안이야말로 정부기관의 조정이 필요한 전형일 것이다. 지역의 이익을 고려하면서 민자사업의 수익성도 감안해 줄 수 있는 것은 중앙정부(건설교통부) 뿐이기 때문이다. 영천∼상주 고속도의 노선 재검토에는 여유 시간이 많지 않다. 상주∼청주는 올 연내 개통 예정이고 영천∼상주는 그 5년 후 완공을 목표로 내년 7월 착공토록 돼 있는 탓이다. 동해선 철도 노선 타협 때 봤던 정부기관의 조정력을 이번에 또 한번 확인할 수 있길 기대한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