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 성비 다른 지역보다 '월등'…출산율은 전국 평균보다 낮아
대구·경북과 울산·경남 등 영남권의 아들 선호 현상이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구는 출산기피 현상도 심각한 수준이어서 '인구는 줄고, 성비 불균형은 심화하는' 복합적 악재가 이어지고 있다.
◆대구·경북, "아들이 최고"
24일 통계청에 따르면 2000∼2005년(2000∼2004년 실적치) 대구의 평균 출생성비(여아 100명당 남아 수)는 112.4로 전국에서 네 번째로 높았다. 경북 역시 112.8을 기록, 전국 3위였다. 대구·경북에서는 특정 어린이집에 여자아이가 100명 있다면, 남자아이는 112명으로 평균적으로 12명이나 더 많은 남자아이가 있다는 의미다.
전국에서 남아선호 현상이 가장 심한 지역은 울산으로 여아 100명당 남자아이 비율이 114.2에 이르렀다. 전국 2위도 경남(112.9명)이어서 영남권의 남아선호현상이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강했다.
또 전국 평균 출생성비는 109.2인데 정상성비(아무런 인위적 요인을 가하지 않았을 때 의학적으로 예상되는 출생성비)인 103∼107에 비해서는 다소 높았지만, 1995∼2000년(110.0)보다는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부부들 사이에 딸·아들을 구분하지 않는 사고방식이 확산된 탓으로 통계청은 풀이했다.
한편 대구·경북과 울산·경남을 제외하고는 충북(110.0), 광주(109.8), 부산(109.5), 전남(109.5), 강원(109.4) 등이 전국 평균에 비해 남자아이의 출생비율이 더 높았다. 반면 대전(109.1), 충남(108.9), 경기(108.1), 서울(107.6), 전북(107.6) 등은 전국 평균에 비해 여자아이가 태어날 확률이 더 높았고, 인천(107.5)은 전국에서 출생성비가 가장 낮은 곳으로 파악됐다.
◆대구, 아이를 안 낳는다
대구를 비롯, 부산·서울 등 대도시 여성들의 합계출산율(여성 한 명이 가임기간에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활발한 사회활동 등으로 늦게 결혼, 아이를 늦게 낳거나 심지어 낳지 않는 현상까지 나타난 탓이다.
2000∼2005년 연평균 합계출산율 조사결과, 부산이 1.04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고, 이어서 서울(1.07명) 대구(1.16명) 순이었다. 이는 1.26명인 전국 평균보다 많이 낮은 수준.
아이를 가장 많이 낳는 곳은 제주로 합계출산율이 1.49명이나 됐다. 전남(1.47명) , 충남(1.44명), 경기(1.38명), 강원(1.36명) 등도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출산율이 높은 수준에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은 연평균 합계출산율이 1980∼1985년 2.14명에서 1990∼1995년 1.72명, 2000∼2005년 1.26명 등으로 떨어졌다가 2005∼2010년 1.13명을 기점으로 2010∼2015년 1.16명, 2020∼2025년 1.22명으로 올라간 뒤, 2025∼2030년에는 1.26명으로 다시 2000년대 초반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했다.
최경철기자 koala@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