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만 바꿨을 뿐인데…새 집처럼 새 손님
창업 전문가들은 전체 외식 창업 중 10~15% 정도만이 성공 운운할 정도라고 말한다. 그만큼 외식 창업은 부침이 심하다. 쉽게 창업했다 쉽게 폐업하는 게 현실. 하지만 폐업보다는 튀는 아이템을 추가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은 방법. 아이템 추가로 마치 새 음식점처럼 변신해 재미를 톡톡히 보고 있는 곳도 적잖기 때문이다. 이들은 '최소 비용의 최대 효과'라는 경제 원칙에 충실한 것이다.
◆호프가 돼지고기를 만날 때
앞산 먹을거리 골목에서 '바벨 브로이'를 하던 안영미(45·여) 사장은 올 2월 '매자골 생돼지 숯불'이라는 간판을 새로 달았다. 기존에 직접 제조하는 생맥주는 그대로 팔면서 주 아이템을 돼지고기로 잡은 것. 안 사장은 "기존의 호프집은 오전 4, 5시까지 영업을 하기가 일쑤여서 너무 힘들었다."고 회상했다.
안 사장은 흔한 돼지고기를 잡으면서 '회전식 구이'라는 새 방식을 도입했다. 손님이 직접 손을 대지 않아도 자동으로 고기가 숯불에서 회전하면서 구워진다. 기존의 브로이에 약간의 리모델링을 한 덕분에 음식점 내부는 고급스러운 분위기가 물씬 풍긴다. 음악도 분위기에 맞게 클래식과 복고풍의 가요가 대부분이다. 안 사장은 "손님들이 고기집 치고 이렇게 분위기가 좋은데 못 봤다고 이야기를 많이 한다."고 말했다.
이곳의 특징은 결국 '모던한 고급스러움'과 '편리함'으로 대변될 수 있다. 연기가 풀풀 나며 힘들게 굽는 고기집과는 차별화된 것.
이곳의 변신은 성공이다. 오픈 당일 줄을 서서 기다릴 정도로 손님들이 들끊었고 지금도 평일 저녁엔 빈자리를 찾기가 힘들다고 한다. 안 사장은 "동네 주민들 중엔 일주일에 두세 차례 찾는 경우도 많다."며 "점심 손님도 꾸준히 늘고 있어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순두부에 우럭무침회 추가요!
성서공단 내 '황금어장 강릉집'은 지난해 11월만 해도 '맷돌 순두부'라는 간판을 달고 장사를 했다. 정용진(41) 사장은 "공단 지역이라 점심 손님은 있었지만 저녁 손님이 별로 없어 고전했다."고 말했다.
정 사장은 고심한 끝에 변신을 시도하기로 했다. 기존의 순두부와 청국장 등을 살리면서 '우럭무침회'를 앞세우기로 했다. 정 사장은 "웰빙 시대라 고기보다는 무침회가 좋을 것 같았고 그 중에서도 우럭이 씹히는 맛도 있고 살이 단단해 물러지지 않는 장점이 있었다."고 전했다.
20년 넘게 음식 장사로 평소 손맛이 있던 정 사장은 한 달 만에 새콤달콤하고 독특한 '우럭 무침회'를 만들어냈고 지난해 12월 주방과 실내 일부를 고쳐 기존 음식점을 새롭게 변신시켰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기존 낮 손님에다 저녁 손님까지 대거 몰리기 시작한 것. 정 사장은 "메뉴를 추가하고부터 매출이 기존보다 40~50% 늘었다."고 웃었다. 공단인데도 조금씩 입소문이 나면서 최근엔 가족 손님들도 차츰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전창훈기자 apolonj@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