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채보상운동은 전 국민운동으로 번지면서 모금이 시작된 지 3개월 만에 16만여 원의 의연금이 모일 정도로 대단한 성과를 냈다.
그러나 1907년 말부터 의연금 모금은 크게 진척되지 않았다. 위기를 느낀 일제의 조직적인 방해 책동 때문이었다. 일제는 국채보상운동을 이끈 단체의 지도부에 압력을 가하는 한편 이를 주도적으로 보도하던 대한매일신보에 대한 탄압을 시도했다. 1907년 10월 15일 대한매일신보 발행인 베델에 대해 주한 영국 총영사관에 제소, 추방 공작을 펼쳤고 1908년에는 국채보상기성회 총무로 의연금을 관리했던 양기탁(대한매일신보 주필)을 국채보상금 횡령 혐의로 구속했다. 양기탁은 재판에 회부되어 증거불충분으로 무죄를 선고받았지만 국채보상운동은 위축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일제는 일진회 등 친일단체를 동원, 국채보상 모금을 방해하는 등 민족분열 정책을 펼쳤다.
이에 따라 국채보상운동 지도부는 모금 활동 대신 모금액 보관·조사·감독 등에 관심을 쏟았다. 1909년 의연금 처리를 위해 조직된 국채보상금처리회는 의연금을 교육사업에 사용할 것을 논의했다. 국채보상처리회는 1910년 모금액의 교육사업 투자를 결정하고 보관 방법으로 전답을 사기로 했다.
하지만 이러한 계획도 1910년 국권피탈로 수포로 돌아갔다. 1910년 말 국채보상처리회는 관리하던 모금액을 모두 경무총감부에 빼앗기고 말았다.
주도 세력의 조직적 통일이 이뤄지지 못하고, 지도 논리와 구체적 계획이 모자랐던 점도 국채보상운동의 실패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지도층이 보상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없었던 점이 아쉬울 따름이다.
국채보상운동은 이후 일제에 맞서는 국민정신 이념운동으로 계승 발전했다. 비록 당초 취지대로 국채 1천300만 원을 갚지는 못했지만 국채보상운동은 일제의 국권침탈이 전개되던 시기에 대중운동으로 자리잡으면서 애국심을 고취했고 항일의식을 고조시켰다. 하층민으로부터 지배층에 이르기까지 전 국민이 자발적으로 참여, 성숙한 시민의식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국채보상운동은 일제 침략의 본질을 일깨우는 계기로도 작용했다. 1920년대 실력양성론에 입각한 '물산장려운동'을 펼치는 등 우리 국민들은 국채보상운동의 경험을 바탕으로 일제에 꿋꿋이 맞섰다.
김교성기자 kg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