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부터 수준별 강좌로 대체
3월부터 대구의 중·고교에 무학년·수준별 수업이 본격 도입되고, 저소득 가정의 학생이 아무런 부담없이 방과후학교를 이용할 수 있는 '자유수강권(바우처·Voucher) 제도'가 전면 확대 시행된다.
대구시 교육청은 22일 그동안 운영편의를 위해 주로 학년별로 개설되던 중·고교의 방과후 강좌를 3월부터는 무학년·수준별 강좌로 바꿔 학년에 관계없이 학생이 원하는 강좌를 들을 수 있도록 했다. 이는 비인기 강좌에 학생을 강제 배정하는 '패키지식' 운영을 개선하기 위한 것. 시 교육청은 "신학기부터 '방과후학교 온라인지원시스템(afterschool.dgedu.net)'이 본격 가동되면 학생들은 PC로 대구 전 학교의 방과후 프로그램 정보를 볼 수 있고 수강도 가능하게 된다."고 했다.
신학기부터는 대구 기초수급가정 초·중·고교생 2만여 명 전원에 대해 '자유수강권 제도'도 시행된다. 이는 학생 1인당 매월 3만 원의 자유수강권을 지급, 자신의 학교뿐 아니라 인근 학교의 방과후 수업도 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지난해 11~12월 시범운영 기간에는 7천여 명에 그쳤지만 올해는 총 61억 원을 들여 수혜 대상이 3배로 늘어난다.
맞벌이·저소득 가정 학부모들에게 인기가 높은 초교의 방과후 보육교실도 대폭 늘어난다. 시 교육청은 지난해 보육교실을 6개 교(전체 초교 중 2.9%)에서 41개 교(20.1%)로 크게 늘린 데 이어, 올해는 70개 교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지난해 시 교육청과 학점 인증 협약을 맺고 방과후학교에 참여한 대학생이 대구교대생 67명이었지만 올해는 교대생과 지역 사범대생 등 400명이 참여하는 등 대학생 보조교사도 크게 늘린다.
시 교육청은 이 같은 내용을 23일 열리는 '2006 방과후학교 성과 및 2007 방향 보고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교육청은 "올해 대구 방과후학교의 최우선 목표는 학생 선택권을 최대한 보장하는 것"이라며 "철저한 수요자 중심의 운영을 위해 관련 제도를 개선하고 각 학교의 참여를 유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최병고기자 cb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우리 꿈 빼앗겼다' 입시비리 조국 사면에 수험생·학부모·2030 분노 표출
'내편은 묻지마 사면, 니편은 묻지마 구속(?)'…정권 바뀐 씁쓸한 현실
유승준 "사면? 원치 않아…한국서 돈 벌고 싶은 생각도 없다"
김건희 구속·국힘 당사 압수수색…무자비한 특검 앞 무기력 野
김문수, 당사서 '무기한 농성' 돌입…"무도한 압수수색 규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