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 대구 새 동력으로 뜰까?…'2020 新도시' 부푼 꿈

입력 2006-12-23 08:35:47

개발 소외 지역 달성군이 급부상하고 있다. 대구 도심의 부족한 주거 공간과 산업 용지를 해결할 주거배후도시로 각광받으면서 각종 개발 호재들이 잇따르고 있는 것. 특히 달성군 다사읍 일대와 테크노폴리스 입지로 선정된 현풍면, 유가면 일원은 오는 2020년까지 신도시의 중심으로 성장할 태세다.

◇신흥 도심을 꿈꾼다=대구 달성군 다사읍 서재리 죽곡 2지구 택지 조성 현장. 10여 기가 넘는 타워크레인이 곳곳에서 아파트 공사에 한창이다. 이곳에는 오는 2010년까지 2천478가구에 이르는 대규모 주거 단지가 들어선다. 여기에 지난 2004년부터 조성, 내년부터 본격적인 입주가 시작되는 죽곡택지지구까지 더하면 입주민은 1만5천여 명에 육박하게 된다. 방천리 위생매립장과 상수도 취·정수장, 지하철 2호선 기지창 등 주민 혐오시설들이 자리 잡았던 이곳이 지하철 2호선 개통과 함께 대구의 새로운 주거 배후도시로 거듭나고 있는 것이다.

이 지역에 본격적으로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기 시작한 것은 지난 1997년부터. 이전까지 15개 마을에 80%가 노인가구였던 농촌 지역이 아파트 촌만 13개가 들어서면서 확 바뀌었다.

거주 인구도 '드라마틱'하게 늘었다. 지난 1995년 1만1천여 명에 불과했던 인구는 지난해 말 현재 3만1천438명으로 2.7배나 증가했다. 다사읍은 현재 초등학교 4곳과 중학교 2곳, 학원 67곳, 경로당 28곳, 유아원 7곳이 몰려 있는 신흥 주거 배후도시로 변모했다. 14대조부터 이 곳에서 살았다는 신영철(69) 씨는 "지하철 2호선이 개통되고 외지인들이 몰려들면서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던 이 곳이 도농복합지역으로 변했다."며 "교통도 편리해지고 문화 생활도 누릴 수 있어 좋다."고 했다.

테크노폴리스 부지인 달성군 현풍면, 유가면 일대 주민들은 '기대반, 우려반'이다. 내년부터 대구 테크노폴리스 조성을 위한 실시설계에 들어가면서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부지 일부부터 토지 보상에 들어갈 계획이기 때문. 결국 보상가를 둘러싼 마찰이 당장 내년부터 시작되는 셈이다.

현풍면은 올들어 지난 15일 현재 전체 740만 평(24,473,099㎡) 가운데 283필지, 11만5천평 (382,938㎡)이 거래됐다. 이 가운데 75필지, 4만1천 평(136,789㎡)은 외지인이 사들였다. 관련 업계에서는 유가면 일대의 경우 요즘 논은 군내 다른 지역보다 평당 10여만 원이 높은 30만~40만 원 선에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주민 박영대(46) 씨는 "달성군과 대구 전체의 발전을 위해서는 테크노폴리스가 가능한 한 빨리 들어오는 것이 맞다."며 "다만 절반이 넘는 노인들을 위한 이주 대책은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 곽외수(58) 씨도 "보상가가 평당 30만 원선이라는 소문 때문에 주민들의 불안감이 크다."며 "평생 삶터를 떠나기에는 터무니없이 적은 액수여서 주민들이 집단행동이라도 나서겠다는 분위기"라고 걱정했다.

◇넘어야할 산들=달성군이 신도심으로 성장하기까지 넘어야할 산도 적지 않다. 우선 취약한 기반 도로 시설이 가장 큰 걸림돌. 특히 달성군 다사읍 죽곡 택지지구와 도심을 연결하는 유일한 통로인 강창교 확장 공사가 가장 시급한 문제다. 내년 말까지 현재 왕복 2차로(폭 24m)에서 왕복 4차로(폭 50m)로 넓힌다는 계획이지만 총 사업비 280억 원 가운데 90억 원만이 내년 사업비에 반영됐다. 구마고속도로 성서~옥포 구간의 완공시기가 1년 늦춰지면서 화원읍 설화리~화원유원지 입구 간 도로공사도 전면 중지됐다.

달성, 고령 지역 주민들의 주 통행로로 상습 정체를 빚는 국도 5호선 화원~위천삼거리 구간의 확장 공사도 오는 2011년에야 완공될 전망이고, 본리 택지지구와 명곡 택지지구를 잇는 도로 역시 내년 5월까지 완공키로 했지만 현재까지 공정률이 절반에도 못미치고 있다.

아예 완공 시기조차 점치기 힘든 도로도 태반이다. 2020년까지 완공 예정이던 낙동강변 제방도로(화원유원지~옥포~위천배수장)는 아예 사업비 반영조차 못하고 있고, 달성 1차 지방산업단지 우회도로 역시 실시설계용역 중이던 지난해 7월 중단된 데 이어 내년에도 사업이 불가능하다.

달성군 전 지역의 46%를 차지하는 그린벨트도 개발의 발목을 잡고 있다. 실제로 대구시가 계획한 시가화예정용지 10곳 가운데 3곳이 개발제한구역 내에 있는 형편. 개발제한구역의 해제가 중앙 정부 차원에서 이뤄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지자체에서 개발을 꾀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신도심 지역 주민과 개발제한구역에 묶여 있는 토착 주민들간의 반목도 피할 수 없는 형편이다. 실제 주거배후도시로 성장한 달성군 다사읍 내에서도 개발제한구역에 있는 문양리와 답산리, 박곡리, 이천리 등 주민들과 개발이 한창인 서재리, 죽곡리 주민들 간에 상당한 위화감이 조성된 형편이다.

주민 추모(68) 씨는 "서재나 죽곡의 환한 야경을 보고 있노라면 우리 동네는 도심 속의 '섬'이라는 생각이 든다."며 "다른 동네는 땅값도 많이 오르고 경기도 좋다는 얘기를 들을 때마다 '우리는 언제 저렇게 살겠나'하는 자괴감마저 든다."고 하소연했다.

이와 관련, 하재명 경북대 건축학과 교수는 "테크노폴리스를 비롯한 달성군 신도시가 성공하려면 대기업을 유치하는 등 고용 수요를 우선 창출해야 한다."며 "또한 생활기반시설과 도로여건, 교육시설 등 정주 환경이 만들어져야 하지만 여기에 대한 비전은 부족한 상태"라고 말했다.

장성현기자 jacksoul@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