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한화갑(韓和甲) 대표가 22일 의원직을 상실함에 따라 당분간 현실 정치무대에서 사실상 사라지게 됐다.
백의종군하겠다고 말했지만 한 대표는 대표직은 물론 당원자격까지 상실하게 됨으로써 '야인'으로 돌아가게 된 셈이다. 지난 1968년 김대중(金大中.DJ) 대통령의 비서로 정계에 발을 들여놓은 지 근 40년만에 정치 일선에서 물러나는 것.
특유의 전라도 말씨와 힘주어 말할 때 손을 위에서 아래로 움직이는 동작이 김 전 대통령을 빼닮아 '리틀 DJ'로 불려온 한 대표의 퇴장은 정치인 한화갑의 시련을 뛰어넘어 그가 속해있던 동교동계라는 이너서클의 종언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동교동계란 김대중(金大中) 전 대통령의 야당 총재시절 동교동 자택에서 상주하다시피 하던 비서출신들을 일컫는 말로 김영삼(金泳三) 전 대통령의 상도동계와 함께 양김시대를 대표하는 키워드.
'DJ의 분신', '동교동계의 맏형'으로 불렸던 권노갑(權魯甲) 전 고문을 비롯해 김옥두(金玉斗) 남궁진(南宮鎭) 최재승(崔在昇) 설훈(薛勳) 윤철상(尹鐵相) 전 의원 등 이른바 '가신그룹'과 DJ의 장남인 김홍일(金弘一) 전 의원이 동교동계의 핵심인물로 꼽힌다.
한 대표는 이 가운데서도 동교동계로는 보기 드물게 서울대 외교학과 출신이라는 '뛰어난' 학벌 때문에 초기에 가신그룹에 연착륙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던 것으로 알려져왔다.
동교동계는 '국민의 정부' 시절 정권의 막후 실력자이자 집권당의 실세그룹으로 군림하며 한 시대를 풍미했으나 열린우리당 창당, 참여정부 출범과 함께 '구시대의 인물'로 몰리며 조락의 길을 재촉당했다.
이들은 2004년 4.15 총선에서 불어닥친 '탄핵풍'으로 대거 낙선의 고배를 마셨고, 그나마 살아남은 한 대표와 김홍일 전 의원 마저 각각 정치자금법과 선거법 위반이라는 암초에 걸려 의원직을 상실한 것.
사실 동교동계의 쇠락은 열린우리당 창당주역인 정동영(鄭東泳) 전 의장, 신기남(辛基南), 천정배(千正培) 의원(천신정)의 정풍운동으로부터 시작됐다고 볼 수 있다.
동교동계의 좌장격인 권 전 고문이 옛 민주당 시절 '천.신.정'의 인적쇄신 요구에 밀려 2000년 12월 '순명(順命)'이란 말을 남기고 최고위원직을 사퇴, 2선 퇴진을 강요당한 것.
이후 정치적 기반을 상실한 권 전 고문은 평당원으로 지내다 2003년 8월 현대측으로부터 대북사업 지원대가 등의 명목으로 200억원을 받은 혐의로 구속기속되면서 사실상 정치생명을 마감했다.
이어 동교동계 의원들은 옛 민주당 분당사태와 열린우리당 창당 과정을 거치며 '분당파'에 맞서 싸우겠다며 4.15 총선에 일제히 도전장을 던졌으나 '탄핵풍'에 휘말려 대거 낙선했다. 이 과정에서 범동교동계로 분류되는 안동선(安東善), 이윤수(李允洙), 이훈평(李訓平), 조재환(趙在煥), 배기운(裵奇雲) 전 의원 등도 탄핵풍에 추풍낙엽처럼 떨어져 나갔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