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장.순환도로.안전산업밸리 등
대구시가 올 해 추진한 일부 역점사업들이 결실을 얻지 못한 채 해를 넘기게 됐다.
12일 대구시에 따르면 대형사업 중 야구장 건립과 4차 순환도로 건설, 안전산업 밸리 조성, 시청 청사 이전, 월드컵경기장 수익사업 등에 별다른 결과를 내지 못해 내년에 다시 추진해야 할 형편이다.
야구장 건립과 4차 순환도로 건설은 다행히 내년 상반기에 재추진할 여건이 되지만 나머지 3개 사업은 '안개 속'에 빠져 재추진 여부조차 불투명하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야구장 건립의 경우, 대구시는 지난 6월까지 후보지를 결정하겠다고 공언했으나 결국 대구체육공원, 두류야구장, 옛 제일모직 부지 등 3곳 후보지만 거론한 채 결론을 내지 못했다.
시는 부지 용도의 제한과 민원 발생 우려, 민간업자 유치 등의 복잡한 걸림돌에 부딪히자 내년 상반기에 1억원의 용역비를 들여 부지 선정을 결론짓겠다고 밝혔다.
또 4차 순환도로(달서구 상인동~수성구 범물동) 건설의 경우, 지난 3월 ㈜태영컨소시엄을 민자사업자로 선정한 뒤 6월에 착공해 2011년 완공할 예정이었으나 시민단체의 반발과 환경영향평가의 지연 등으로 착공이 내년으로 넘어갔다.
시는 환경영향평가와 시의회 보고 등의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됨에 따라 시민단체협의체와의 협의 과정을 해결하면 내년 상반기 중에 착공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시청 청사 이전의 경우, 최종 후보지를 올 초 결정한 뒤 2009년에 착공할 계획이었으나 시재정 부담을 이유로 무기한 연기했다.
시는 지난 2월 시 재정의 여건이 개선될 때까지 청사 이전을 보류한다며 시 청사 이전팀을 해체해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시청 이전이 거론되지 않을 전망이다.
안전산업 밸리 조성의 경우, 지난 4월 총사업비 5천600억원을 들여 동구 신서동 혁신도시내 50만평에 안전산업의 기업 유치와 연구지원시설, 안전테마파크 등을 조성키로 계획했으나 사업비의 절반을 쥔 중앙 정부의 반대로 사실상 좌절됐다.
대구시 권태형 산업기술과장은 "안전산업 분야의 R&D(연구.개발)시설을 먼저 육성한 뒤 밸리 조성을 검토하겠다"고 밝혀 밸리 조성 사업이 가속도를 내지 못할 것으로 예상됐다.
월드컵경기장 수익사업은 2002년 월드컵대회를 위해 지은 경기장 건설비 2천836억원 중 지방채로 조달한 1천855억원을 2001년부터 2016년까지 해마다 100억~173억원씩 갚아야하는 상황에서 대구시의 큰 숙제 중 하나다.
대구월드컵경기장관리소의 올 해 총수입이 고작 3억3천만원인 점을 감안하면 수익사업은 더욱 절실하다.
관리소는 작년 말부터 지난 4월까지 경기장내 지하1층의 4개 사무실 1천520평에 대해 7차례에 걸쳐 공매(1차 9억4천만원, 7차 4억7천만원)를 실시했지만 사업용도가 문화.집회시설로 제한됐다는 이유로 단 한 명도 입찰에 응하지 않았다.
또 주차장에 대형 할인점을 건립하는 사업도 추진했으나 L기업 등이 수익성이 없다는 이유로 포기해 사업추진에 손을 뗀 상태다.
관리소는 내년 3월 말 2013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의 대구 유치가 확정될 경우, 유치위원회 등과 의논해 수익사업을 재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