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첨예한 域內(역내) 현안 두 개가 상황 급변의 갈림점에 섰다. 그저께 처음으로 적격지가 거론된 한국수력원자력(주) 본사 이전 件(건)과, 어제 대구시의회 報告(보고) 수용 결정이 내려진 앞산터널 건설 건 등이 그 두 현안이다. 시한을 넘기고도 진척도가 오리무중이던 한수원 건은 이로써 주도세력이 드러나고 결정적 줄다리기가 유발된 형상이다. 대구 앞산터널 건 또한 지금껏 '시의회 보고'라는 절차에 막혀 정체됐다가 겨우 토론의 장으로나마 물꼬가 트였다고 봐야 할 터이다.
지금 상황으로 볼 때 앞으로 전개될 밀고 당기기는 유례 드물게 치열할 듯싶다. 한수원 건의 경우 동해안 지역민과 경주 시가지 양쪽의 '이익' 조율이 결코 간단할 리 없다. 거기다가 느닷없이 양남이 적격지로 지목됨으로써 양상이 더 야릇해졌다. 그곳은 사실상 蔚山(울산) 생활권이어서 경주는 방폐장만 떠안을 뿐 보상 효과는 다른 도시 몫으로 넘겨지리라 우려되기 때문이다. 대구 앞산터널 건의 경우도 '70일 이내 찬반 양측의 합의'가 시의회 보고 수용의 전제조건으로 붙었다. 하지만 자연훼손 우려, 民資(민자) 건설의 실효성에 관한 의문, 민자 방식 도로 일반에서의 투자 진정성에 대한 의문 등등 제대로 점검돼야 할 과제가 한 둘 아니다.
두 사안 모두'합의'가 쉽잖을 것임은 불 보듯하다. 그러나 지역민들은 어떻든 그 '합의'를 만들어 내야 한다. 우리 모두에게 이익되는 길을 찾아야 하는 탓이다. 또 합의가 소중하다고 해서 결코 서두르거나 대충 덮는 방식으로 대해서도 안 될 일이다. 어쩌면 합의를 만들어 가는 그 과정이 事案(사안) 자체 못잖게 중요할 수도 있다. 그게 바로 지역 통합의 절차인 탓이다. 이 해가 가기 전에 지역민 모두에 승리자가 될 수 있다면 더 좋을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