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에 281만 3천여 명 선이었던 경북도의 주민등록 인구가 지금 271만 7천 명 정도로 3.5% 9만 6천여 명 감소했다. 반면 지방공무원 現員(현원)은 2만 1천600여 명에서 2만 2천700여 명으로 4.7% 1천35명 증가했다. 定員(정원) 증가폭은 더 커, 12.3% 2천264명에 달했다고 한다. 지역 인구는 감소하는데 공무원은 자꾸 늘어간다는 얘기이다.
그런 현상은 慶北(경북)만의 일도 아니어서 이제 大邱(대구) 사정 또한 별반 다를 바 없게 됐을 성싶다. 게다가 국가공무원 숫자 역시 증가세일 가능성이 높으니, 실제 지방 근무 공무원 총 숫자의 증가폭은 알려진 것보다 더 클지도 모를 일이다. 그리고 그런 종류의 문제 제기마저 사실 어제오늘의 새로운 것도 아니다. 그런데도 정부는 늘 "다 이유가 있다"는 식으로만 대응하고 넘기기 일쑤였다. 인구는 줄지만 노년층 증가 등으로 행정 수요가 달라졌고, 福祉行政(복지행정) 등등의 확장으로 새 분야 인력 보강이 필요한 때문이라는 등이 그 내용이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지역민들이 지금도 여전히 같은 의문을 되풀이해 제기한다는 점이다. "주민은 감소하는데 공무원은 뭐 하러 늘리는 것일까?" "농어촌 지자체 대부분의 자체 수입이 그들의 월급을 맞춰 주기도 불가능하다는 데도 그러는 게 잘하는 일인가?" 심할 경우 주민들은 공무원 조직이 자체 팽창력 때문에 일을 벌이는 게 아닐까 의심하기까지 한다. 그렇다면 地方政府(지방정부)는 이제라도 이 문제를 대하는 태도를 바꿔야 할 터이다. 필요해 공무원을 늘리려면, 그에 앞서 그 월급을 부담할 주민부터 설득해야 하는 것이다. 주민과 지방정부 兩者(양자)가 소통을 끊은 채 따로 노는 상황은 어떤 복지정책으로도 만회할 수 없는 흠결이기 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