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청이 희한한 업무 行態(행태)를 선보였다. 수성구 황금·상동 단독주택 단지에 합계 2천200여 가구분의 아파트들이 들어서려 하자 관련 필수 부지로 '근린공원' 예정지까지 덜렁 내주기로 한 것이다. 허가의 선결 조건인 초등학교 신설 부지를 확보하지 못한 건설업체가 조그만 '소공원'터 두 개와 맞바꾸기를 제안한 결과라 했다. 대구시청이 시민 전체가 쓸 '근린공원'을 포기하고 해당 小地域(소지역) 주민용의 '소공원'을 받아들이면서까지 업자 이익만 편든 셈이다. 반면 건설업체들은 학교 부지를 확보하지도 않고 2년씩이나 아파트 건설을 추진하는 배짱을 보인 꼴이니, 아무래도 석연치 못하다.
경북도청의 시외버스 업체 '묻지마 지원하기'도 大膽性(대담성)에서 대구시청에 결코 밀리지 않는다. 보도에 따르면 건교부는 시외버스에 대한 지원을 2001년에 시작하면서, 중앙정부와 광역지자체가 1대 1 비율로 비용을 대되 지방정부가 조례를 만들어 관리토록 했다. 하지만 유독 경북도청은 부담 비율을 1대 2로 해 道費(도비) 지출을 두 배로 부풀렸으며 조례도 만들지 않았다. 나아가 지원금과 배분권은 버스조합에 일괄해 넘겼고, 사후 관리를 않았을 뿐 아니라 관련 자료조차 챙겨두지 않았다.
참으로 놀라운 일이다. 단순한 행정 착오들로만 보이지가 않는다. 이런 식으로 할 것이라면, 경북도청에서 세금 마구 써버리기는 누워서 죽 먹기일 터이다. 대구에서는 종합적인 도시계획을 세울 필요가 없어져, 앞으로의 도시계획은 시청의 힘있는 사람들이 내리는 자의적 판단에 따라 맞춰가기만 하면 될 것이다. 事理(사리) 모를 리 없는 경험 많은 공무원들이 이러고도 당연하게 생각할 턱은 없어 보인다. 흑막이 있지 않을까 의심하는 사람들이 생겨난 것은 그 때문일 것이다. 어떤 업계의 대표적인 업주들이 오랜 세월 해당 관청의 실력자였던 사람의 스폰서였다는 뜬소문들도 그래서 흘러다니기 시작했을 터이다.
시외버스 지원에 대해서는 감사원 監査(감사) 청구 설이 있기도 하지만, 아예 처음부터 강제 수사권을 가진 검찰이 나서서 파헤쳐 줬으면 싶기까지 한 사안들이다. 지방권력의 부패 스캔들로 의심하는 사람이 늘어나는 걸 방치하는 건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탓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