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국감 "테크노폴리스 조기건립 통해 경제활성화를"

입력 2006-10-20 11:14:16

국회 행정자치위는 20일 대구시청에 대한 국정감사를 벌였다. 여야 의원들은 대구경제의 침체 위기를 진단하고 나름대로 해법을 제시했다. 특히 테크노폴리스와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DGIST)의 조기 건립을 통해 지역 경제활성화를 주장했다.

한나라당 이상배(상주) 의원은 "과거 3위의 대도시였던 대구는 마땅한 지역경제 회생수단을 찾지 못하고 인천에 3대 도시의 위상을 내주며 위기에 봉착해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동남권 연구개발(R&D) 허브 기반구축을 위해 대구시에서 추진하는 테크노폴리스 조성 및 DGIST 건립 사업은 대구·경북의 지역 경제활성화, 동남권 지역의 R&D 역량강화를 통한 제조업의 경쟁력강화와 고급 일자리 창출을 위해 시급하고 중요한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구가 지식기반 경제시대에 지방화의 거점이 되어 국가 경쟁력 강화를 주도하기 위해서는 테크노폴리스와 DGIST를 조기에 추진, 세계적인 연구발판으로 육성·발전시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테크노폴리스의 부지 조성과 관련, 열린우리당 김부겸(경기 군포) 의원은 "지역주민들은 당초 287만 평으로 발표했던 대상부지가 224만 평으로 축소되는 과정에서 63만 평의 유휴농지가 있음에도 새롭게 20만 평의 입지를 선정한 것은 납득할 수 없는 입장"이라 주장했다.

김 의원은 또 "테크노폴리스 계획을 발표하고도 아직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지 못하는 상황에서 새롭게 입지를 결정하고 해당 주민들과 교섭을 시작하고 마무리하기까지는 시간이 소요되어 사업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지하철 수송분담률과 관련해 한나라당 김정권(경남 김해갑) 의원은 "대구 지하철의 수송분담률이 7월 현재 7.08%에 불과해 서울시 35.9%, 부산시 14.2%고 단일 노선인 인천시도 19.5%에 비해 저조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올 들어 지난 7월까지 2호선의 일일 평균 승차인원이 12만 3천 명 으로 개통 당시 대구 지하철건설본부가 KDI 용역을 통해 분석한 예상승객수 21만 명의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중교통의 수송분담률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은 연계성이지만 대구 지하철의 역별 버스정류장까지의 최단거리가 100m를 넘는 역이 무려 56.1%나 되며, 심지어 400m가 넘는 역도 7.2%나 되고 문양, 다사, 대실, 대공원역은 아예 버스정류장이 없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 유기준(부산 서) 의원은 "대구시의 불법 주·정차 위반에 대한 과태료 부과에 따른 징수율을 살펴보면 2004년 56.5%, 2005년 52.8%, 2006년 6월 기준 41.3%로 해마다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