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주(61) 성주 초전초등학교장은 성주지역 '문화 지킴이'다. 성주가 고향인 그는 15년 가까이 주민과 학생들에게 숨어 있는 문화 유산을 소개하는 강의·답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교장은 80년대 중반부터 개인적으로 향토사 연구에 관심을 가져 오다 6차 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집필·강연·답사 등을 통해 지역 문화를 알리는 활동을 꾸준히 해 오고 있다.
"6차 교육과정으로 바뀌면서 초등 교과서 성주군 편의 집필에 참여하게 됐어요. '나 혼자만 알고 있어서는 안되겠다'는 답답함이 앞섰지요."
그는 2001년 교육청 지원을 받아 '체험 학습장 가는 길'이라는 책을 펴 냈다. 한개 민속마을, 세종대 왕자 태실, 성산리 고분군, 김창숙 선생 생가 등 총 40여 곳에 달하는 성주지역 문화 유적에 대한 상세한 약도와 설명을 담았다.
"'한개 민속마을'은 문화재청 지정 돌담마을이고, 태실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조선조 왕자 17명의 태를 간직한 곳입니다. 성주 토박이들조차 모르기 십상이죠."
이 교장은 이후 학교 밖으로 눈을 돌렸다.
5년 전 성주문화원과 연계해 '어머니 문화 유적반'을 조직했다. 부모가 고향에 대해 아는 만큼 그 자식들도 닮지 않겠나는 생각에서였다. 매주 한 차례 문화 해설사를 자임한 그의 노력으로 10명이던 학부모는 현재 30여 명으로 늘었다. 그는 "엄마들이 박사가 다 됐다."며 "이번 겨울에는 본격적인 성주투어를 준비중인데 기대가 높다."고 했다.
3년 전부터는 향토사 연구회를 만들어 활동중이며 성주 향토 자료집을 발간하기도 했다. 요즘에는 성주군청에서 열리는 '고전학습회'에 일주일에 두 차례 나간다. 전통 문화 공부에 필요한 한자 실력이 부족하다는 생각에서다. 지난 7월에는 성주지역 1급 정교사 연수회에서 '우리 문화재 교육, 이렇게'라는 주제로 강의를 하는 등 강연활동도 바쁘다.
"전통을 통해 무엇을 배울 것인가를 고민해야 합니다. 우리 지역의 것부터 알아 나간다면 더할 나위가 없죠."
최병고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