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합의한 고위 당·정·청 모임 역할 주목

입력 2006-08-07 09:44:35

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열린우리당 지도부가 6일 합의한 고위 당·정·청 모임의 역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노 대통령과 우리당 지도부는 이날 오찬회동에서 당·정·청 간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 한명숙(韓明淑) 총리가 포함된 고위 당·정·청 모임을 만들어 주요 현안에 대한 적극적인 의견조율에 나서기로 합의했다.

당·정·청 간 의사소통을 위한 고위급 인사 모임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여권은 지난해 말까지 당 의장과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국무총리, 청와대 비서실장, 민정수석 등 12명의 고위인사들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운영하면서 각종 현안에 대한 당·정·청의 입장차를 조율한 바 있다.

이 모임에는 여당 내 실세인 당시 정동영(鄭東泳) 의장과 김근태(金槿泰) 보건복지부 장관까지 가세했고, 때때로 노 대통령이 직접 주관하는 등 사실상 여권의 수뇌부 회동으로 기능했지만 지난해 말 두 사람이 각각 장관직을 그만둔 이후 가동이 중단됐다.

이 때문에 최근 김병준(金秉準) 전 교육 부총리 거취 문제로 여권 내부의 입장조율 필요가 생겼을 때에는 한명숙(韓明淑) 총리와 이병완(李炳浣) 청와대 비서실장, 김근태 의장, 김한길 원내대표 등 '4인 회동'이 이뤄지기도 했다.

이번 고위 당·정·청 모임의 참석범위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한 총리와 김근태 의장, 김한길 원내대표, 강봉균(康奉均) 정책위의장, 이병완(李炳浣) 청와대 비서실장, 변양균(卞良均) 정책실장이 필수멤버로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관건은 12인회의처럼 당 출신 장관들도 참여할지 여부지만 현재로선 가능성이 높지 않아 보인다. 12인회의의 경우 참석자가 너무 많아 심도있는 논의가 힘들었다는 지적이 있는데다, 당내 일각에서는 당 출신 장관이 참여할 경우 유시민(柳時敏) 복지장관도 멤버에 포함된다는 사실에 적잖은 부담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천정배(千正培) 전 법무, 정세균(丁世均) 산자부 장관, 문희상(文喜相) 유인태(柳寅泰) 의원 등 일부 상임고문과 당의 중진들이 참여할 가능성은 있어 보인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