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초.중.고등학생들 사이에서 '기절놀이'가 유행하는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아이들은 단순한 호기심과 일시적인 쾌감으로 하지만 그 위험성은 너무나 크다는 게 전문의들의 지적이다.
◇3분 이내 의식 못 찾으면 뇌세포 손상 = 목을 조르는 행동을 의학적으로 보면 경동맥을 눌러서 머리로 가는 피를 막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순간적으로 핑그르르 도는 듯한 느낌과 함께 뇌에 저산소증이 오면서 의식을 잃게 된다.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은 "기절 상태에서 뇌에 4~6분 이상 산소가 공급되지 않으면 심각한 뇌손상을 일으켜 뇌졸중과 유사한 신체장애나 발작 등 기능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만약 그렇지 않더라도 저산소증으로 인한 기억상실, 집중력 저하 등의 후유증을 겪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 돌이킬 수 없는 후유증 가져올 수도 = 우리 몸의 모든 부분이 다 산소를 필요로 하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산소에 예민한 곳이 뇌다. 때문에 뇌에 산소가 모자라면 심각한 지경에 이를 수 있으며 산소가 4분 이상 전달되지 않으면 세포기능이 멎는다.
만약 호흡이 멈춘 뒤 10분 이상 지나고 인공적이든 자발적이든 호흡이 되돌아 왔다고 해도 뇌는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입게 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