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급식 식중독 사고의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식자재의 검수와 유통 과정을 전면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직영이든 위탁이든 식자재가 유통과정에서 오염되면 언제든 사고가 되풀이될 수 있기 때문.
이와 관련, 국회 교육위원회는 식자재 선정과 구매, 검수를 해당 학교가 직접하고 직영 급식을 의무화하는 내용의 학교급식법 개정안을 28일 통과시켰다. 그러나 이런 대책만으로는 사고가 재발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각급 학교와 식자재 납품 업체간의 리베이트 관행을 없애고 유통과정의 관리감독 체계를 바르게 세우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
급식업계 종사자들은 식자재 납품 과정부터 철저한 검수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식자재 품목선정 과정에서 복수의 상품을 제시해 이중 질 높은 식자재를 공급받아야 한다는 것.
영양사가 식자재 품목을 결정하면서 특정회사 제품을 명시, 업체간 경쟁을 배제함으로써 질 낮은 식자재가 높은 가격에 납품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
실제로 영업 사무실만 차려놓고 식품공장에서 OEM으로 낮은 단가에 물건을 받아 영업비용을 덧붙여 급식소에 납품하는 경우도 적잖은 실정이고 공장 생산가격에 30~40%를 영업마진으로 덧붙여 납품, 질낮은 공산품이 급식소로 흘러 들어갈 공산이 크다는 것.
냉동식품 전문회사인 H식품의 경우 자체 공장도 없이 납품하는 물건이 60여 개가 넘었고 돈가스와 만두는 공장 생산단가와 납품가의 차이가 40%에 이르기도 했다. 또 납품단가를 낮추기 위해 신선도가 크게 떨어지는 농산물이 제공되는 경우도 있다.
일부 급식업체들이 농산물 도매시장에서 경매가 끝난 오후 2시쯤, 신선도가 떨어져 값이 싸진 농산물을 거둬 납품한다는 것. 심지어 출하된 지 48~72시간 지난 농산물이 공급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급식업계 종사자는 "납품과정에서 농산물에 대한 농약 잔류검사나 농수 검사조차 제대로 되지 않고 육안으로만 검수가 이뤄져 질낮은 농산물이 들어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유통과정을 확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현재 대구시내 급식업체들 가운데 냉동·냉장차량을 구분해서 배송하는 업체는 거의 전무한 실정.
특히 대부분의 납품트럭이 지입으로 운영돼 식품을 운반한 트럭에 다른 물건을 싣고 운행해도 막을 방법이 없다.
한 지입트럭 기사는 "급식소에서 남은 음식물 쓰레기를 배송트럭에 실어서 버려달라는 요구를 하기도 한다."며 "물세차와 소독, 온도측정 등 배송 트럭의 오염을 막기 위한 조치가 없어 트럭에 싣는 순간부터 식중독의 위협에 노출되는 셈"이라 전했다.
전문가들은 저질 식자재반입을 막으려면 '최저가 낙찰' 방식 대신 전자입찰제를 통한 '최적가낙찰' 방식을 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울러 학교와 급식업체, 식자재 납품업체 간의 검은 고리를 끊어야 한다는 목소리다. 업체 선정 과정에서 금품과 향응이 오가는 것은 업계의 공공연한 비밀이라는 것.
한 급식업체 관계자는 "학교 측에 주기적으로 리베이트를 제공않으면 계약 자체가 불가능하다."며 "일부 관계자들에게 매달 100~300만 원씩 돈을 건네기도 한다."고 털어놨다.
일부 학교는 수의계약으로 납품업체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입찰가의 3~5%를 학교발전기금 명목으로 돌려달라고 한 뒤 이를 직원 회식비 등으로 사용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학교급식대구운동본부 서수녀 수석부지부장은 "친환경 우수 농산물을 반드시 직거래 방식으로 납품받아야 학생들의 건강도 챙기고 농민수입도 보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검증시스템의 마련도 시급하다. 식재료의 납품 전과정에 걸쳐 안전성을 철저히 검증할 위원회를 구성하고 식자재 납품업체에 대한 인증제 도입 등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
문혜선 참교육학부모회 대구지부장은 "이름 뿐인 학교급식 소운영위원회를 정상화시키고 학부모들의 적극적 참여와 시교육청의 철저한 감시만이 급식의 질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장성현기자 jacksoul@msnet.co.kr 임상준기자 zzun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역시 MBC는 못믿겠다…중요 발언 편파적 편집"
[단독] 문형배 탄핵안 발의, 국회 심사 시작됐다 [영상]
尹 대통령 지지율 51%…탄핵 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헌재 "최 대행, 헌법소원 인용시 안 따르면 헌법·법률 위반"
대통령실 前 행정관 "홍장원, 대북공작금 횡령 의혹부터 해명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