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단체장 당선자들의 업무 인수 활동이 2주째로 접어들면서 그들이 '지역 경영'을 위해 어떤 밑그림을 그리고 있는지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그것은 장차 4년간의 임기를 통해 도달하고자 하는 지역 진흥의 목표를 제시하는 일일 뿐 아니라, 그 달성의 수단과 로드맵까지 담고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전의 경험으로 볼 때 상당수 지자체 장들은 사실 지역 진흥의 목표를 장기적 종합적 적극적으로 설정할 줄조차 모른 채 임기를 마치지 않았나 의심토록 할 때가 없잖았다. 그보다는 발생하는 지역 문제에 산발적 수세적으로 임기응변하는 것을 주 업무로 삼는 듯했던 것이다. 그러면서 역내의 각종 행사는 쉴 틈 없이 쫓아다니거나 언론을 이용한 얼굴 팔기에 목을 매다시피 함으로써 4년 후의 선거에 대비하는 듯했다. 그런 단체장들이 임기를 마칠 즈음 나타나는 평가가 '잃어버린 10년'이니 '잃어버린 4년'이니 하는 회한 섞인 것들이었다.
당선자들의 인수위 주변에서 지금까지 주로 들려 오는 이야기는 어느 자리에 누가 임용될 것인가 하는 인사 얘기이다. 지역 진흥과 관련한 종합 비전을 어떻게 준비해 가고 있는가 하는 것은 빠져 있다. 비전이 먼저 수립되고 그걸 실행하는 데 적합하도록 조직과 사람의 문제가 다뤄져야 할 것인데도 본말이 전도되는 느낌이다.
공무원 조직에 '혁신'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는 보도도 있었으나, 그것 역시 느낌이 좋지만은 않다. 도달할 목표(비전)를 제시한 뒤 그에 맞춰 조직을 꾸리고서야 '진격'을 독려할 수 있을 터인데 그 수순을 거꾸로 밟는대서야 성과 없을 구태가 아닐까 싶은 탓이다. 가능하면 토지 사용 계획까지 반영한 지역 진흥 및 경영의 종합 비전부터 앞서 제시되기를 기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