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주둔 미군의 양민 학살 의혹 사건을놓고 이라크 정부와 미군 간에 대립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현 이라크 정부는 미국의 지원을 기반으로 구성됐기 때문에 양측의 갈등은 이라크 정국의 불안정성을 증폭시킬 뇌관이 될 수도 있다. 아드난 알-카지미 이라크 총리 보좌관은 3일 미군이 자신들의 과오가 없다고 밝힌 이샤키 마을 주민 학살 의혹 사건과 관련해 미군 주장을 반박했다고 알-자지라인터넷판이 보도했다.
미군이 지난해 11월 양민 24명을 학살했다는 '하디타 사건'에 이어 언론보도로알려진 '이샤키 사건'은 미군이 지난 3월 어린이 5명과 여성 4명을 포함한 11명을방 안으로 몰아넣고 살해한 뒤 건물을 폭파했다는 의혹이다.
미군 측은 영국 BBC 방송이 지난 1일 이를 뒷받침하는 비디오 테이프를 입수했다고 보도한 뒤 학살 의혹을 공식 부인했다.
미군은 이 마을에서 발생한 저항세력과의 교전 중에 총격을 받은 건물의 일부가붕괴돼 알-카에다 연루 용의자와 다른 민간인들이 숨졌다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 카지미 보좌관은 로이터통신 회견에서 "우리는 복수의 소식통으로부터 미군의 이샤키 주민 살해가 의심스런 정황에서 이뤄졌다는 정보를 입수했다"고말했다.
그는 이 사건과 관련해 미군의 잘못이 없다는 주장은 이라크 국민이나 희생된어린이들의 입장에서 보면 불공정한 것이라며 인권부 주도로 정부 차원의 조사를 벌이겠다는 의사를 피력했다.
그는 또 하디타 사건을 포함한 여러 건의 양민학살 의혹을 규명해 피해자들에대한 미군 측의 배상과 함께 미국의 사과를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카지미 보좌관의 발언은 미군의 양민 학살 의혹 사건과 관련해 누리 알-말리키총리가 잇따라 강경 입장을 천명한 가운데 나온 것이다.
말리키 총리는 지난 1일 하디타 사건을 "가증스런 범죄"라고 비판하며 미군이자행한 것으로 알려진 각종 양민 학살 의혹에 대한 진상조사 계획을 밝혔다.
말리키 총리는 또 2일에는 미군이 보유한 '하디타 사건' 파일을 요구하겠다며미군 측 조사로부터 독립된 자체조사를 진행하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했다.
한편 로이터통신은 이샤키 사건에 과실이 없다는 주장이 미군에 대한 이라크 국민들의 불신을 더욱 키우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바그다드에 거주하는 압둘라 후세인은 로이터 회견에서 이샤키 사건에 대한 미군 측 해명은 이라크 전쟁의 명분이 됐던 대량살상무기와 관련해 거짓말을 한 미국을 신뢰할 수 없는 또 다른 이유가 됐다고 말했다.
카이로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