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포럼] 화마(火魔)와 문화재 관리

입력 2006-05-16 07:47:20

최근 창경궁의 문정전, 화성 서장대 등 중요문화재 방화 사건을 계기로 지난해 낙산사 화재 이후 각종 문화재 재난의 효율적 대응을 위한 "문화재 재난 방재 시스템" 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우리 주변에는 이름만 들어도 귀에 익은 중요문화재가 많다. 경주 불국사, 김천 직지사, 영천 은해사,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안동 봉정사 극락전, 팔공산 동화사, 하회마을과 양동마을, 도산서원과 소수서원 등 2006년 1월 현재까지 경상북도 내 지정문화재만 하더라도 1,655점에 달한다. 이들 중 대부분이 인적이 드문 곳에 위치하고 있다.

우리나라 전통건축에 사용된 주요 건축 재료는 목재(木材)다. 그래서 현존하는 고려시대 이전의 실제 목재건축 유구는 찾아볼 수 없는 안타까운 실정이다. 선조25년(1592) 임진왜란 시 전후 7년에 걸친 왜란(倭亂)으로 몽고 침입 때 못지않은 문화재의 손실로 불국사와 경복궁 등 많은 건물들이 소실되었고 그 후 왜란의 상처가 채 아물기도 전 인조 14년(1637) 북방으로부터 침입한 청(淸)의 병자호란으로 또 다시 많은 문화재가 소실되었다. 게다가 36년간의 일제 강점기와 6,25 때도 우리의 문화재는 숱하게 많은 수난을 겪어야만 했다.

국민소득 2만불 시대를 바라보는 지금이야말로 조상들이 물려준 소중한 문화유산이 미래의 발전을 위해서라도 과거의 기억이 꼭 필요한 시점인 것 같다. 이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것만은 아니기 때문이다. 때문에 보다 지정문화재가 효율적이고 현실성 있게 운용될 수 있도록 전면적인 재검토와 함께 유관기관과의 협의를 거쳐 첨단 감시 장비설치, 전담인력확보 등 문화재 재난 방지시스템 강화를 위한 인적 물적 보완대책이 빠른 시일 내에 마련돼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위하여 문화재에 대해서는 건물은 물론 주변 임야에도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고, CCTV, 야간적외선 감지기 등 첨단시설 설치, 고정 순찰 근무원 배치 등 근본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수립해서 시행토록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고, 방화(放火)등 인재(人災)에 대한 문화재 추가 재해 예방을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 등에 담당자를 과감하게 확충해서 관내 문화재 순찰을 강화시키고 소방시설 점검과 보강, 특히 정기적인 소방훈련을 반드시 강화토록 해야 할 것이다.

최근 문화재청이 추진 운용중인 방재시스템의 주요내용을 보면 문화재는 물론 보관 장소에까지 소화설비, 경보설비 등의 설치를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05년 6월)하고, 문화재 재난위기 대응 매뉴얼 마련(06년 2월), 문중·사찰·서원 등에 첨단감시 경보장치 설치(04~08년 75개소 추진), 목조문화재에 방연제 도포(05년까지 2512동 완료), 소화전설치(05년까지 171개소), 화재경보시설 설치(05년까지 95개소 완료), 지속적인 정기 안전검사실시, 긴급보수예산 편성 운용, 최첨단 시설 설치, 문화재 종합방제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조사연구용역 실시(06년 4월)등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이 많은 방재시스템 중 정작 필요한 화재진화 정기훈련에 대한 계획과 실행보고는 찾아볼 수 없다. 잊어선 안 될 대구 지하철 참사 때 소화설비나 경보설비, 첨단설비 시설이 없어서 재난이 컸던 것이 아니었음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실제 화재 발발(勃發)시 평소 소화설비 사용방법이나 대처방법을 몰랐기 때문에 소중한 문화유산과 아까운 목숨을 잃었던 것이다. 돌이켜보면 지난해 낙산사뿐만 아니라 그 동안 크고 작은 문화재 화재 시 모두 마찬가지였었다. 이를 때면 일본 고찰 주변 마을주민들의 정기 소방훈련이 새삼 기억에 되살아난다.

화재는 예방이 물론 중요하지만 화재 발생 시 초기 진화가 가장 중요하다. 특히 우리나라 지정 문화재가 위치한 곳은 일본과는 달리 인적이 드문 곳이 대부분이다. 때문에 소방대가 도착할 때까지의 초기 진압은 대단히 중요하므로 초기 소화(消火)에 가장 효과가 큰 스프링클러(sprinkler)설비를 하루속히 목조건물 문화재는 물론 문화재 주변 숲에도 설치하여 문화재 보존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최영식 영남이공대학 건축과 교수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