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소속 의원들은 30일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사학법 양보권고를 사실상 받아들이지 않기로 한 당 지도부의 결정을 환영하는 분위기다.
우상호(禹相虎) 대변인은 "우리당은 국정을 책임진 대통령의 고뇌와 포용정치를 이해하고 존중한다"며 "최고위원회의 결과는 사학법을 지키면서도 시급한 민생현안을 처리하라는 대통령의 요구를 수용한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위 소속 정봉주(鄭鳳株) 의원은 "당 지도부가 의총에서 나온 여론을 수렴해 잘 결정한 일"이라며 "이번 일로 국가보안법이나 대연정 때처럼 청와대와 당 사이에 이견이 나오진 않을 것"이라며 당청갈등이란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당내 친노(親盧)그룹 중 하나인 참정연 소속 한 의원도 "당 지도부가 노 대통령의 권고를 수용했을 경우 당내 근간이 흔들릴 수 있다는 절대 다수 의원들의 우려와요구를 수용했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전날 노 대통령의 갑작스런 권고를 놓고 상당히 동요하는 모습을 보였던 우리당 의원들이 당 지도부의 입장을 전폭 수긍함에 따라 당초 예상되기도 했던 당청간 갈등이나 당내 분란 재연가능성을 낮아보인다.
그러나 당내 일각에서는 이번에도 당청간 사전조율의 부족 등 문제점이 드러난만큼 청와대 정무기능의 보완과 같은 당청간 의사소통 구조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친노직계의 한 의원은 "청와대 참모들과 어느 정도 사전조율이 있었음에도 여당의 양보만 강조해 김한길 원내대표가 상당히 당혹스러웠다고 한다"며 "청와대 비서실이 미흡했던 것 같다. 정무기능 보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일단 당청간 정면충돌은 피하게 됐지만 이번 일이 향후 정국변화의 중요한 암시가 될 수 있다는 조심스런 관측도 나왔다.
정동영(鄭東泳)계 한 의원은 "당내 반발이 생길 수 있고 (대통령의 권고를) 받아들일 경우 당이 엉망이 될 수도 있는데 왜 이런 방식으로 하려는지 모르겠다"며 "대통령이 탈당의 명분을 쌓기 위한 수순 아닌지 하는 생각도 든다"고 말했다.
한편 강금실(康錦實) 서울시장 예비후보은 전날 성명을 통해 "개방형 이사제라는 사학법 개정안의 핵심내용에 후퇴가 있어서는 안된다"며 "우리당의 정체성은 지켜져야 한다. 당이 중심이 돼 사학법 개정안에 담긴 기본철학을 지켜달라"고 주문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