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안동에도 '황사관측소' 설치된다

입력 2006-04-22 09:24:11

연내에 대구와 안동에 황사 미세먼지 농도 측정을 위한 관측소가 설립된다.

또 황사 발원 및 이동경로에 대한 관측을 강화하기 위해 만주와 북·중 접경지역에 황사관측소 5곳이 추가로 신설된다.

이에 따라 국내의 황사 미세먼지(PM-10) 관측소는 올해 안에 17곳에서 23곳으로 늘어나고 북한 개성·금강산에도 황사관측소 설치가 추진된다.

이만기(李萬基) 기상청장은 21일 오후 이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황사예보 정확도 향상을 위한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이 청장은 "지난 14일 중국에 황사협력조사단을 파견해 중국측과 칭다오(靑島) ·단둥(丹東)·츠펑(赤峰)·시핑(四平)·엘롄하오터(二連浩特) 등 5곳에 황사관측소를 설치키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중국 내 황사관측소는 기존 주리헤(朱日和)·유셰(楡社)·퉁랴오(通遼)·다롄(大連)·후이민(惠民) 등 5곳에서 10곳으로 늘어나며 관측지역도 네이멍구(內蒙古)와 황토고원에서 만주와 북·중 접경지대로 확대된다.

그는 또 "그동안 황사관측의 '사각지대'였던 강원 중·남부와 경상도 지역에도미세먼지(PM-10) 농도측정을 위한 관측장비 6곳을 보강해 전국적으로 균형있는 황사관측망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측장비가 설치되는 지역은 대구, 안동, 진주, 춘천, 속초, 원주 등이다.

현재 국내에는 황사 미세먼지 관측소 17곳과 황사의 이동고도 및 황사층의 두께를 측정하는 라이더(LIDAR) 4곳 등 모두 21곳이 있으나 서해안에 편중돼 있어 전체적인 황사농도 측정에는 한계가 있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