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경제통합 논의가 한창인 가운데 경북지역 중소기업 지원기관 설치 등 대책이 절실하다.
중소기업 지원기관 대부분이 대구에만 위치, 경북지역 중소기업들이 지원과 혜택의 사각지대에 방치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5인 이상 제조업체의 경우 대구에는 7천74개, 경북에는 5천925개가 있지만 중소기업청, 중소기업진흥공단, 공정거래위원회, 코트라, 수출보험공사, 수출입은행, 한국무역협회,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등 대부분 중소기업 지원 기관의 대구경북본부가 대구에만 위치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대표적인 중소기업 지원기관인 대구경북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진흥공단 대구경북본부 등의 경우 경북지역에 출장소가 설치돼야 한다고 경북지역 중소기업인들은 요구하고 있다.
경북지역 중소제조업체 관계자들은 "중소기업 지원 기관들이 대구에만 있기 때문에 관련 기관을 방문하려면 시간적·경제적 부담이 적지 않다."면서 "인터넷이나 전화로 상담하면 된다지만 대구지역 업체들과 비교해 소외감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중소기업청의 경우 부산·경남지역에는 두 곳이 설치돼 있지만,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대구·경북지역은 하나밖에 없는 형편이다.
대구경북중기청은 경북지역 상공인들이 경북지역으로 출장소 설치를 요구, 지난해 10월 포항상공회의소에 포항상담실이 개소됐지만 지난달까지만 운영됐다. 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운영할 수 없다는 것이 대구경북중기청의 입장이다.
대구경북중기청 관계자는 "경북 오지지역 중소기업인들을 위해 중소기업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시책설명회를 가지는 한편 지역 담당관제를 운영, 사업설명과 홍보를 하고 있지만 미흡한 것은 사실"이라면서 "대구경북중기청 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경북지역에 출장소를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모현철기자 momo@msn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