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언론보도를 보면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해 정부에서는 각종 노력을 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서민들에게 가장 기본적인 사회보험에 있어서는 오히려 양극화를 부추기고 있다는 의심을 할 수 밖에 없다.
정부(재경부)에서는 건강보험의 재정여건 악화와 인구고령화로 인해 더이상 공보험의 보장성 강화만을 우선할 수 없으며, 민간보험을 활성화하여 의료의 신기술과 진료의 질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민간보험은 아무리 미화한다고 하더라도 특성상 영리추구가 주 목적일 수 밖에 없다는 점은 명약관화한 사실이다. 따라서 민간보험회사에서는 이윤 극대화를 위해 건강한 사람들과 부자만을 위한 보험상품을 개발하는 등 선택적 가입만 허용 할 것이고, 실제로 질병에 걸릴 위험이 높은 일반 서민층은 가입이 거의 불가능할 것이다.
결국 의료이용에 있어서 심각한 양극화가 초래 될 것이란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서민들을 위해 다국적 기업의 비싼 약가를 조정하는 등 지출부문을 절약하여 공보험인 국민건강보험의 재정안정과 보장성 강화를 위해 노력을 하는 것이 올바른 양극화 해소의 방안이 아닌가 생각한다.
권영대(대구시 달서구 이곡동)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