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교통시스템 핵심축
사업비 7천억 원을 전액 국가에서 지원하는 자기부상열차 시범사업권을 따내기 위한 지방자치단체 간 로비전이 치열함한 가운데 대구시가 유치를 위해 총력전을 펴고 있다. 대구시는 건설교통부 등 중앙 부처에 자기부상열차 시범노선의 대구건설 당위성을 적극 알리고 자기부상열차 선진국 견학에 나서기로 하는 등 유치에 '올인'할 방침이다.
조해녕 대구시장은 1일 오후 지역 국회의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자기부상열차 시범노선이 대구에 유치될 수 있도록 지원해 줄 것을 요청할 예정이다. 조 시장은 동대구역세권 개발과 연계해 대구시가 추진 중인 신교통시스템을 자기부상열차 실용화 사업으로 건설, 동대구역세권 개발을 촉진하고 지역 건설경기 활성화를 도모하자고 의원들에게 촉구할 방침이다.
또 조시장은 3월 초 일본, 말레이시아 등 자기부상열차를 도입할 국가들을 방문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대구시는 자기부상열차 시범노선 대구유치를 위한 시민단체, 학계, 경제계, 관계 등이 참여하는 범시민조직도 조만간 결성, 공감대를 확산하고 중앙 부처설득에도 나설 계획이다.
건교부의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자기부상열차 사업은 일정 규모 이상의 유동인구와 도시전체 인구가 100만 명 이상 돼야 수익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를 바탕으로 할 경우 대구시를 비롯, 대전과 광주시가 유리한 조건인 것으로 판단돼 해당 지자체들이 유치전에 뛰어들고 있다. 건교부는 본 타당성 조사결과가 나오는 오는 9월쯤 시범사업지역을 결정하고 2007년 6월부터 시스템 제작 및 건설에 들어가 2012년 1월부터 운행한다는 방침이다.
대구시는 자기부상열차 시범사업의 규모, 추진기간이 대구시의 신교통시스템 건설계획과 동일하고 수송수요 측면에서 다른 도시에 비해 훨씬 유리한 만큼 시범노선이 대구에 건설돼야 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대구시가 계획하고 있는 엑스코 대구~봉무산업단지~대구공항~동대구역~범어네거리~궁전맨션앞(총연장 12.7km) 노선 경우 교통수요가 많은 곳을 연결하는 데다 지하철 1, 2호선과도 연계돼 사업 타당성이 높다는 것.
시 관계자는 "정부가 12km정도의 구간에 시범적으로 자기부상열차를 도입키로 계획을 세워 놓고 있는데 대구는 노선 길이도 12.7km로 적정하고, 교통수요가 많은 곳을 잇는 등 강점이 많아 시범사업 도시로 결정될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는 국비지원이 안되면 민간자본을 유치해 건설한다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이대현기자 sky@msn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