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대학 위기 상황은 어제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신입생 충원율 절대 감소, 졸업생 취업난, 교육'연구 여건 부실화 등으로 존립 위협으로부터도 자유롭지 못한 대학들이 어디 한둘인가. 이 같은 위기는 국립과 사립, 규모와 역사, 인지도 등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발등의 불'이기는 거의 마찬가지다. 그 결과 지방대 졸업생의 취업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모두 떨어지면서 '악화 일로'에 있고, 이 현상이 우수 학생 유치에도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그래서 지방 대학들은 이제 과거처럼 '성장과 규모의 지향'과는 기본적으로 다른 길을 걸을 수밖에 없게 됐다. 존립과 발전을 기약하는 '특성화와 구조 개혁, 질적인 변화'가 '화두'로 떠오르는 건 너무나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사실 지금의 지방대 위기는 백화점식 양적 팽창에 주력해 온 대학 정책의 필연적 결과이기도 하며, 자체 노력 없이 유지돼 온 대학의 안전망이 경쟁력을 잃게 했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대구권의 일부 대학이 '최저학력기준제'를 도입하고, 부사관 양성 과정을 개설하는 등 새로운 전략을 구사해 성과를 거두고 있는 모양이다. 특히 2004년부터 수능 성적이 일정 수준(인문계 5등급, 자연계 6등급) 이상인 학생만 지원받는 대구가톨릭대는 올해 입학 정원이 줄어도 우수 학생은 되레 늘어나는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수능 2, 3등급 학생에게 외국 대학 복수학위를 받을 수 있게 학비와 체류비까지 지원하는 파격적인 방안도 마련한 대구가톨릭대는 이 등급의 학생이 올해는 1천400여 명(지난해 940여 명)으로 크게 늘어났다고 밝혔다. 더구나 이는 의대'약대'사범 계열을 제외한 숫자여서 큰 성과가 아닐 수 없다. 이 때문에 미국'중국 등에 복수학위 유학을 보낼 대상 학생을 당초 60명에서 123명으로 늘리기도 한 모양이다.
◇이 대학의 서경돈 총장은 외국 대학의 복수학위 취득 지원 확대에는 '추가 경비만도 20억 원이 들지만 많은 인재를 양성하면 미래에 학교가 발전하게 될 것'이라는 믿음으로 질적 향상을 지향해 기대치를 높이고 있다. 게다가 내년엔 이 제도를 전면 도입할 의지까지 보여 더욱 그렇다. 대구가톨릭대의 '최저학력제' 효과가 지방대 위기의 확실한 탈출구가 되고, 지방대를 새롭게 살리는 기폭제가 되길 기대한다.
이태수 논설주간 tspoet@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탄핵 반대, 대통령을 지키자"…거리 정치 나선 2030세대 눈길
젊은 보수들, 왜 광장으로 나섰나…전문가 분석은?
민주, '尹 40% 지지율' 여론조사 결과에 "고발 추진"
윤 대통령 지지율 40%에 "자유민주주의자의 염원" JK 김동욱 발언
尹 탄핵 집회 참석한 이원종 "그만 내려와라, 징그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