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관 미군부대 캠프캐롤의 일부 시설이 전남 광양항 배후부지로의 이전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미군부대의 한 관계자에 따르면 "캠프캐롤의 일부 이전은 현재의 미군부대 전투장비 관련 창고 등 시설이 좁고 군수물자의 광양항 이용 등에 따른 정책상의 문제로 지난해 초부터 논의돼 왔다"고 전했다. 또 왜관 미군부대의 정비창고 주변이 민가에 둘러싸여 있어 보안상 취약점도 문제가 됐으며 이와 관련해 미군부대 관계자가 지난해 이전대상 부지로 거론된 광양시 현지를 둘러보고 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사실은 지난해 12월 13일 백옥인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청장이 광양항 홍보관에서 추병직 건설교통부장관에게 "왜관에 있는 미군 정비창고가 보안 등의 문제로 이전 계획을 갖고 있는데 가장 관심을 두고 있는 곳이 광양항 배후부지"라고 현안보고를 하면서 공식적으로 첫 거론됐다. 이와 함께 백 청장은 "미군은 아시아지역의 모든 병기, 병참 기지를 광양항 배후에 두는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올해 2월 말∼3월 초쯤 미 국방부 직속기관인 미군 군수사령부가 직접 조사에 나설 예정"이라는 등 구체적인 내용까지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 문제가 올해 들어 광양시에 알려지면서 광양에서는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이전 반대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광양시와 시민단체 등의 관계자 20명은 10일 칠곡군청과 의회 등을 방문, 군부대의 운영과 현지 주민들의 반응을 살폈다. 이들과 동행 취재한 CBS 전남방송 박모 기자는 "왜관 미군부대 일부시설의 광양이전이 추진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에 따른 광양시민들의 반대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이에 대해 국방부 내 미군 측과의 현안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용산사업단에서는 일절 함구하고 있으며 왜관 주민들도 전혀 모르고 있는 상태다. 용산사업단 이상열 소령은 "한미 간의 시설문제는 SOFA(한미주둔군지위협정)의 공약에 따라 추진된다"며 "미군부대의 이전문제 등은 한미 간 협의가 되면 국방부에서 용산사업단에 땅을 확보하라는 등의 지시를 하는 것이 절차인데 왜관 미군부대 이전에 따른 문제에 대해서는 아직 별다른 지시를 받지 못한 상태"라고 말했다.
칠곡·이홍섭기자 hslee@msn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