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팀이 강팀을 이기는 이변 가능성은 축구가 높을까, 야구가 높을까.
5일(이하 한국시간) 영국 과학저널 '뉴사이언티스트'에 따르면 미국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 연구진의 결론은 싱겁지만 두 가지로 나왔다.
지난 100년간 데이터를 종합해보면 축구가 이변 가능성이 가장 크고 야구, 아이스하키, 농구, 미식축구 순이었지만 최근 10년으로 국한하면 야구가 축구를 추월했다.
연구 대상은 지난 100년 간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와 미국 메이저리그(MLB), 북미아이스하키리그(NHL), 미국 프로농구(NBA), 프로풋볼(NFL) 등 5대 스포츠 프로리그의 30만 경기 결과였다.
이런 조사를 한 이들은 로스앨러모스 연구소의 엘리 벤-나임, 시드니 렌더, 페데리코 바스케스 등 세 연구원이다.
이들은 어느 종목이 가장 재미 있는지 알아보려고 전적이 나쁜 약팀이 강팀을 이기는 빈도를 분석했다.
물론 주관적인 재미나 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이변 가능성 뿐 만 아니라 팀에 대한 소속감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미국이 자랑하는 로스앨러모스 연구소 연구원들의 생각은 비교적 단순했다.
벤-나임 연구원은 "이변이 없다면 모든 경기는 예측가능하고 지루해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변이 속출하며 '축구공은 둥글다'는 평범한 진리를 입증하던 프리미어리그가 최근 메이저리그에 밀리게 된 것은 근래 들어 축구가 예측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라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프리미어리그는 최근 10년 간 첼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아스날 등 강팀이 돌아가며 우승을 했지만 메이저리그에서는 보스턴 레드삭스와 시카고 화이트삭스가 예상을 뒤엎고 뉴욕 양키스 같은 강팀을 제치고 수 십년 만에 월드시리즈를 제패했다.
한편 영국 뉴사이언티스트가 종합적인 결론을 근거로 '축구가 가장 재미있다'고 전한 반면, 이를 인용한 미국 블룸버그통신은 '야구가 축구를 눌렀다'는 측면을 강조해 같은 사안을 놓고 시각차가 달라 눈길을 끌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