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 클러스터 추가 지정 전력해야"

입력 2006-01-02 15:13:52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정부 지원은 물론 대구지역 산업의 돌파구와 성장 동력 마련이 무엇보다 절실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올해 정부의 산업단지 혁신 클러스터 사업 확대 시 추가 지정받을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해야 합니다."

대구전략산업기획단(단장 이정인)은 대구지역의 낙후 공단 재개발 및 첨단화를 위해선 지역 공단 벨트화를 통한 산업단지 혁신 클러스터 지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부 지원은 물론 지역 산업을 고부가가치 지식집약형으로 탈바꿈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인 만큼 추가 지정받을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과 준비가 필요하다는 것.

특히 대구지역처럼 도심에 공단이 벨트를 형성하고 있는 곳은 전국 어디에도 없는 만큼 산업단지를 하나의 벨트로 묶을 경우 규모나 특성·특화 등 산업단지 혁신 클러스터 지정 대상지로 손색이 없는데다 개별단지 별로 시도하는 것보다 혁신적이고 참신해 큰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게 기획단의 분석이다.

게다가 달성 및 성서공단, 서대구공단, 염색공단, 3공단, 검단공단 등이 각각 5~30분 거리를 두고 연결돼 있고 대구테크노폴리스, 봉무지방산업단지 등 최첨단 단지는 물론 구미, 경산, 진량, 포항, 마산, 창원 등 지역 산업단지와의 연계도 가능해 산업단지 혁신 클러스터로 지정될 경우 시너지 효과에다 대구·경북, 영남, 동남권을 하나로 묶는 산업벨트 형성의 초석을 마련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산업단지 혁신 클러스터로 지정될 경우 클러스터 추진단의 인건비, 운영비, 업종별 클러스터 과제 발굴 및 네트워킹 지원비, 연구개발(R&D) 자금, 컨설팅 및 마케팅 지원 등의 명목으로 해마다 최소 연간 40억 원을 지원받을 수 있는데다 사안에 따라 지원 규모가 증가할 가능성이 커 지역 공단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대구지역의 경우 지방산업단지, 일반공단, 농공단지만 있을 뿐 국가산업공단이 없어 각종 정부의 시범단지나 사업에서 제외되고 있는 만큼 산업단지 혁신 클러스터로 지정될 경우 향후 다양한 지원도 기대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정인 단장은 "이들 산업단지의 경우 대구공항, 동대구역, 주요 고속도로 등과의 접근성도 어느 도시보다 높은 등 확실한 '수·출입 포트'가 확보돼 있다"며 "혁신 클러스터로 지정될 경우 '경제자유구역' 지정으로 연결될 수도 있어 향후 각종 정책 및 사업 등의 지원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단장은 "특히 건설교통부가 국가산업단지 지정 제도를 40여 년 만에 폐지하는 개정안을 국회 상정키로 하는 등 국가 및 지방산업단지 개념이 흐려지고 있는 분위기인 만큼 이번 혁신 클러스터 추가 지정에서 지방산업단지의 혁신클러스터 지정 가능성도 적잖은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이호준기자 hoper@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