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신문 위상이 지방분권 '바로미터'

입력 2006-01-02 14:26:15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우리나라를 인체로 비유한다면, 머리 부분 또는 심장부에만 지방분이 과잉 축적된 기형적인 구조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가 동맥과 정맥만 있고 실핏줄은 없는 무기력한 체제라고도 할 수 있다.

이대로 가다가는 그동안 쌓아올린 우리의 경제적 성과와 국제적인 지위를 통째로 잃어버릴지도 모를 일이다. 지방분권과 지역발전 없이는 더 이상 국가와 민족의 장래를 보장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버린 것이다.

지방화는 오늘날 우리나라 최대의 정치적 의제일 뿐 아니라 민족사적 과제이기도 하다. 지역사회의 발전은 지역언론의 발전과 맞물려 있다. 지역사회는 지역언론이 발전하는 기반이며, 지역언론은 지역사회를 발전시키는 동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방화의 실현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과제가 중앙에 집중된 언론권력의 분산, 즉 중앙언론과 지방언론의 균형을 갖추는 일이다. 지금과 같이 과도하게 집중된 중앙언론 구조 아래서는 지방분권과 지방화라는 화두는 구두선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게다가 우후죽순격으로 늘어난 지역·지방지의 난립이 지역언론 환경을 더욱 황폐하게 만들고 있다. 일부 지방신문 사주들은 신문경영을 개인 사업의 방패막이나 자신의 사회적인 위상제고를 위한 도구로 이용하고 있기도 하다.

호남대 신문방송학과 김덕모 교수는 지방화에 따른 지역언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자립능력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서는 중앙 권력기관과 행정기관의 지방분산과 실질적인 권한의 이양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또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릴 수 있는 건실하고 경쟁력 있는 지역언론에 대해 정부가 한시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이어 지역신문과 방송 간의 겸영 허용으로 지역언론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했다. 그리고 지역주민들의 지역언론에 대한 부단한 성원과 감시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영남대 언론정보학과 강길호 교수는 먼저 영상화, 편리화, 개인화, 시·공간 초월화(유비쿼터스) 등 매체환경 변화에 부응한 지역신문의 다양한 생존방안 모색을 제기했다. 이와 함께 현 독자층인 40대 이상 중·장년층과 잠재적 독자층인 젊은 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언론의 체질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서는 많은 유형의 정보보다는 심도있는 선별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읽는 신문과 보는 신문의 이중적 특성을 살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나아가 중앙지와 차별화를 위해 지역사회의 중요 현안과 정보를 더 많이 개발하는 보도방향 설정을 주문했다.

김 교수는 한편 지역 언론 간의 공생을 위해 과거 춘추사의 해외 특파원 공동파견과 같은 취재와 기획보도의 협조체제 등 관계 재정립도 필요하다고 했다. 언론학자들을 이제는 지역신문 지원과 육성에도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정부도 그렇고 독자들도 그렇다는 것이다. 정말 지역사회를 대표하고 지역여론을 대변하는 신문의 경쟁력을 키워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조향래기자 bulsajo@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