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들이 병술년(丙戌年) 우리 사회의 소망을담은 사자성어로 '큰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작은 생선을 삶는 것과 같다'는 뜻의 ' 若烹小鮮(약팽소선)'을 선정했다. 교수신문은 각 대학 교수 195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8∼14일 설문조사를 통해 20 06년 한국 정치·사회·경제 분야의 소망을 담은 사자성어를 조사한 결과 32.8%가 ' 若烹小鮮'을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노자(老子) 60장에 나오는 이 사자성어는 본문 중 '治大國若烹小鮮(치대국약팽소선)'의 준말로 '큰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작은 생선을 삶는 것과 같다'는 의미로무엇이든 가만히 두면서 지켜보는 것이 가장 좋은 정치란 뜻으로 풀이된다.
교수들은 2006년 한국 사회는 지난해 9월 6자회담의 성사에도 북한인권과 위조지폐문제 등 남북관계와 한미관계에서 그 어느때보다 지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친일청산과 독재시대의 인권침해 등 과거사 문제와 교육 분야의 개혁, 노사갈등과 상하계층의 반목에 있어 조화를 찾는데도 '若烹小鮮'의 자세가 필요하다는입장을 밝혔다.
교수들은 또 '초목이 겨울에는 누렇게 물들어 떨어지지만 여름이 되면 다시 푸르러진다'는 뜻의 '回黃轉綠(회황전록)'(27.7%)과 '시기를 잘 이용하면 재화(災禍) 도 복리(福利)가 된다'는 뜻의 '因禍爲福(인화위복)'(23.1%)을 올 한해 소망을 담은사자성어로 꼽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