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에 대한 해외 주요 투자기관의 시각이 빠르게 긍정론 쪽으로 기울고 있다. 2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ABN암로, 씨티, 도이체방크, 골드만삭스, JP모건, 리먼브라더스, 메릴린치, 모건스탠리, UBS 등 9개 주요 외국계 투자은행이 지난달 중순 이후 보고서를 통해 발표한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4.7%로 집계됐다.
이는 국제금융센터가 지난해 10월말 일본계 노무라(당시 전망치 4.2%)를 포함해 총 10개기관을 조사한 평균치 4.3%에 비해 불과 두 달 사이 0.4%포인트 높아진 것으로, 현재 4%대 후반으로 추정되는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과 비슷한 수준이다.
기관별로는 리먼브라더스가 내년 성장률 전망치로 가장 높은 6.0%를 제시했고, 골드만삭스(5.3%), 메릴린치(5.1%), 씨티(5.0%) 등은 5%대 성장을 예상했다. 이밖에 도이체방크(4.7%)와 모건스탠리(4.5%), JP모건(4.4%) 등은 4%대, UBS(3.9%)와 ABN암로(3.6%)는 3%대의 성장률 전망치를 내놨다.
모건스탠리는 두 달 사이 전망치를 3.3%에서 4.5%로 1.2%포인트나 높였고, 씨티(4.3%→5.0%), 메릴린치(4.5%→5.1%), 도이체방크(4.3%→4.7%) 등의 상향 조정폭도 컸다. 이 같은 외국계의 전반적 전망치 상향조정으로 상대적으로 보다 낙관적인 국내 민간연구기관들과의 격차가 크게 좁혀졌다.
현재 삼성경제연구소와 LG경제연구원, 현대경제연구원, 한국경제연구원은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을 각각 4.8%, 4.6%, 4.5%, 4.9%로 전망하고 있다. 정부측의 시각은 더욱 긍정적으로, 재경부와 한국은행의 예상치는 모두 5.0% 수준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