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준영 경찰청장 여당까지 등돌리자 사퇴

입력 2005-12-30 10:40:25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경찰, 수사권조정 대변자 상실 '실망'

농민사망에 따른 자진사퇴 압력에 맞서온 허준영(52) 경찰청장이 취임 11개월 만인 29일 결국 사표를 제출했다. 국가인권위원회의 농민 사망 조사결과 발표가 있은 지 사흘 만에,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 이틀 만에 사퇴 뜻을 밝힌 것이다.

◆사표 배경=허 청장은 28일 밤까지만 해도 "결코 사퇴 불가라는 입장을 번복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지만 농민단체와 야당, 심지어 여당인 열린우리당까지 자신의 사퇴를 요구하고 나서자 생각을 바꾼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나라당이 '장외투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여당은 예산안 처리, 이라크 파병연장 동의안 등 처리를 위해선 야당의 협조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에서 민주노동당이 의사일정 협력의 전제조건으로 '경찰청장 탄핵'을 내세운 것이 결정타로 작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물 밀듯 밀려드는 압박에다 '인권경찰'을 표방한 경찰 운영의 큰 그림이 농민사망이라는 최악의 결과로 이어지자 밤샘 고민 끝에 사퇴를 결심한 것으로 풀이된다. 검찰과 수사권을 놓고 대립양상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경찰 총수로서 자리를 고집하는 게 장기적으로 조직 전체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계산도 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허 청장은 "공권력의 상징인 경찰청장이 물러날 사안은 아니라는 판단에는 변함없다"며 기존 입장을 굽히지 않았고 "새해에는 목소리 큰 사람이 국민의 고막을 찢는 일은 없길 바란다"며 불편한 심기도 숨기지 않았다.

어쨌든 경찰은 집회에 참가했던 농민의 사망으로 경찰청장과 서울경찰청장 등 핵심 수뇌부 2명이 모두 옷을 벗는 위기에 몰린 셈이 됐다.

◆파장=경찰 창설 60주년에 맞춰 취임한 허 청장이 경찰의 숙원이었던 검·경 수사권 조정에 '올인'하다시피했던 점을 감안할 때 사표 제출에 대한 경찰의 우려는 매우 깊을 수밖에 없다.

수사권 조정이 내년 2월 임시국회에서 어떤 방향으로든 결론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후임 청장이 허 청장의 공백을 어느 정도 메울 수 있을지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허 청장이 조직 내부에서 신망이 두터웠고 이를 기반으로 역대 어느 청장보다 경찰 입장을 대변하는 목소리를 강하게 냈다는 점에서 그의 '불명예 퇴진'에 따른 경찰의 실망감은 그래서 커지고 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