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호남지방은 잇따른 폭설로 큰 피해를 입었다. 피해규모가 2천500억 원 이상에 달할 것이라는 추산이다. 세계적인 기상이변으로 날씨정보는 한 회사나 국가의 운명을 가를 수도 있는 요인이 됐다.
그러나 우리나라 기상을 관장하는 정부기관 '기상청'은 1990년 12월 28일에야 인사권과 예산권이 독립된 중앙행정기관이 됐다. 그렇게 큰 주목을 받지도 않았다. 그 명칭과 직제 변화의 우여곡절도 날씨만큼 변덕스러웠다.
기상청은 1908년 4월 대한제국 농상공부 대신 소속 '관측소'로 시작했다. 1912년 내무부 학무국으로 소관이 이관됐고, 1947년 6월 문교부 관상국이 기상업무를 맡았다. 그 후 1948년 8월 15일 발족한 '국립중앙관상대'로 문교부 소속이 됐다. 1963년 2월 교통부가 맡으면서 '중앙관상대'로 개칭됐다.
1967년 4월에는 과학기술처로 소속이 다시 바뀌더니 1982년 1월에는 '중앙기상대'라는 새 이름을 얻었다. '관상을 본다'고 할 때의 '관상(觀相)'이라는 말과 '관상(觀象)'이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는 이유가 컸다.
'날씨가 돈이 되는 세상'에서 들으니 참 이해하기 힘든 일들이다. ▲1903년 미국 재즈피아니스트 얼 하인스 출생 ▲1999년 통합방송법, 임시국회 본회의 통과.
조문호기자 news119@msn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