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혁신도시 선정의 성과를 탈락 시·군과 공유하는 방안을 적극 마련키로 했다.
경북의 경우 한 생활권역인 대구와는 달리 유치지역간 거리가 먼 데다 입지선정을 위한 심사가 진행되는 동안 신청 시·군간 치열한 유치 경쟁으로 그 후유증이 지역분열과 갈등으로 나타날 우려를 씻기 위한 것이다.
우선 경북도는 정부의 공공기관 후보지에서 탈락한 시·군에 대해 권역별로 현재 대구 북구 동호동·학정동과 도청내에 위치하고 있는 경북도 산하 7개 기관을 이전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이전 대상기관은 △공무원교육원(정원 53명, 예산 41억 원) △농업기술원(89명, 248억 원) △보건환경연구원(71명, 78억 원) △농산물원종장(13명, 17억 원) △종합건설사업소(65명, 346억 원) △가축위생시험소(30명, 27억 원) △친환경생명자원사업소(18명, 7억 원) 등이다.
도는 이달 중 이들 도 산하 기관에 대한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해 현장실사 등을 거친 뒤 내년 상반기중에 이전 예정지를 확정하기로 했다.
이의근 경북도지사는 "경북도 산하기관의 이전을 정부의 공공기관 이전과 연계해 추진할 방침"이라며 "경북 전체의 균형있는 개발을 위해 공정하고 객관적인 잣대로 이전 후보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도는 정부의 13개 이전 공공기관의 산하기관이나 협력업체 등을 유치, 혁신도시와 연계해 배치하고 이전해 오는 기관이 추진하는 대형 프로젝트산업을 도내에 유치한다는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이와 함께 13개 공공기관으로부터 발생하는 지방세 수입을 별도 기금으로 조성, 낙후지역 개발사업에 활용하고 균형발전특별회계 재원 및 특별교부세, 국가균형정책사업, 보조사업 등을 혁신도시에서 탈락한 지역에 우선 지원키로 했다. 황재성기자 jsgold@msn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