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김치전쟁' 시민단체.네티즌 반응

입력 2005-11-02 09:51:13

"중국측 무역보복" "한국도 자성해야"

중국측이 한국산 김치와 고추장 등 10개 품목에서 기생충 알이 검출됐다며 수입금지 조치하자 시민단체와 네티즌은 '무역보복' 성격이짙다며 한-중 양국 간 '김치전쟁'으로 비화할 조짐을 보이는 사태 추이에 우려를 나타냈다. 이들은 김치전쟁을 우려하면서도 '중국산 김치에서 기생충알 검출'로 촉발된 일련의 사태에 대한 우리 정부의 안이한 대처를 질타하면서 강경대응을 주문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양국 간 김치사태가 싼값에 집착하는 중국내 한국업체와 한국내 수입업자의 이해관계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비윤리적 사업행위에 대한 엄중한 처벌도 강조했다. '함께하는시민행동'은 1일 "중국측의 이번 발표는 한국측이 중국산 김치에서 기생충 알이 발견됐다고 발표한 것에 대한 보복성이 아닌지 의문"이라며 "중국이 나름대로 근거를 대고 있지만 명확한 사실관계 규명이 필요한 것 같다"고 밝혔다.

녹색연합은 "먹을거리를 가지고 양국 정부가 힘 겨루기를 하고 있어 우려를 금할 수 없다"며 "자국의 농민을 보호하기 위한 양국의 공방에 소비자인 시민은 불안에 떨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네티즌 'mitigator11'도 "과거 '마늘파동'으로 중국이 한국 휴대전화에 보복을가하던 때가 기억난다"며 "중국의 이번 조치는 '눈에는 눈으로'라는 대응 방식으로한국산 김치의 이미지에 타격을 가하려는 의도로밖에 해석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번 사태에 대한 우리 정부의 안이한 태도를 질타하는 목소리와 함께 신속한사태 파악과 강경 대응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높았다. 네티즌 'anamdang'은 "대처가 늦어지면 국내 김치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발빠르게 생산자가 누구인가, 생산지가 어디인가를 조사해 사실 관계를 명확히 밝혀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모임'은 "정부의 일관된 정책이 없다는 사실이 안타깝다"며 "정부가 종합기준을 만들고 대안을 제시해 소비자가 더이상 불안에 떨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네티즌 'sky_ssm21'은 "이런 식으로 보복조치를 감행한다면 우리도 어쩔 수 없다"며 "정부가 세계무역기구(WTO)에 이번 사태를 제소하는 강경대응도 배제하지 않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러나 이번 사태가 저렴한 것만을 찾는 한국내 수입업자와 중국내 김치제조업체의 이해 관계가 맞아 떨어져 발생한 것이라는 지적에 대해 겸허한 반성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네티즌 'hmgch'는 "그동안 중국에 진출한 한국 김치제조업자·수입업자들이 돈에 눈 멀어 위생을 외면한 면이 있다"며 "중국에서 일본 등지로 수출되는 상품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네티즌 'akrrkdtjfrhd'는 "한국 수입업자를 비롯한 국내 식품 관련업자들의 비윤리적 사업행위에 대해 즉각적인 폐업이나 무거운 추징금을 부과하는 법률적 장치가 즉각 마련돼야 한다"고 목청을 높였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