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작가 폴 오스터가 쓴 소설 '공중곡예사'에 이솝이라는 소년이 등장한다. 곱사등이이며 흑인인 이솝은 미국 중부 캔자스 주의 한적한 시골에서 홀로 무수한 책들을 섭렵했다. 이윽고 스무 살이 되자 이솝은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 한 번도 가보지 못한 동부의 도시들을 여행한다. 동부의 명문대학 교수들은 그를 면접하고는 경악을 금치 못한다. 엄청난 실력 때문이었다. 모든 대학이 그의 입학을 환영하며 4년간의 장학금을 약속한다. 그러나 이솝에게는 명문대학보다 할렘의 사창가에서 더 생생한 도시체험을 한다. 이솝이 대학에서 받은 충격보다 대학이 시골의 곱사등이에게서 받은 충격이 더 컸다는 것이다.
지역문화를 살리자는 취지의 글을 쓰려고 하는데 왜 만화에나 나옴직한 이솝의 이야기가 먼저 떠오를까.
21세기는, 단언하면 문화의 시대이다. 정치든 경제든 어떤 생산물에도 문화적 아이콘이 덧붙지 않으면 행세하기가 어려워졌으니 문화의 비중을 실감할 수 있다. 공교롭게도 같은 시기에 우리나라에서 지방자치제가 실시되었고 각 지자체들은 다투어 문화상품을 개발하고 있다. 아무리 기억력이 좋은 문화전문가라 하더라도 지자체가 마련한 문화상품, 혹은 문화축제의 이름을 다 외우기는 힘들 것이다. 대도시는 물론이고 소읍까지도 문화행사의 피켓을 높이 추켜올리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에는 '문화'가 없다고들 한다. 문화는 서울에 다 몰려 있고 지역은 텅 비었다고 하니, 이상한 노릇이 아닐 수 없다.
실제로 지역문화의 속을 들여다 보면 문화의 서울 예속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 가늠된다. 지자체의 문화행사 기획에서부터 지역 문화단체들의 지원에 이르기까지 상당부분 중앙인사들의 손끝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를 문화예술 전체로 확대해서 들여다 보면 문화예술의 서울 종속화가 얼마나 심각한지 말하기 민망할 지경이다.
어떤 이는 원래 '문화'란 지역에 있었던 것인데 서울이 다 빼앗아 간 것이라고 강변한다. 신라의 말탄사람 토기나 백제의 금관 같은 것을 구경하려면 지역 소재 박물관 아니라 서울의 중앙박물관으로 가야 하는데 사실 지역문화 유산을 수탈해 간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거친 표현이긴 하지만 말의 의미는 엿볼 수 있다.
지역문화의 광범위한 예속현상은 지역 행정부와 문화인들에게도 책임이 크다. 문화행사에 문화전문가보다 공연기획자에게(그것도 서울에서 내려온) 더 중심역할을 맡긴다든가, 관람객의 수로 문화행사의 성공여부를 평가한다든가, 창의적 문화생산은커녕 지역홍보를 위한 이벤트로 전락시키는 점, 지역 문화인들에 대한 홀대와 대학의 관련학과 출신들을 활용하지 못하는 점, 그리고 '문화민주화'에 대한 지나친 강박관념도 문화예속의 한 원인이 된다. 문화예술인들의 빈약한 창작성취도 빠트릴 수 없다.
지역의 문화예술을 살리자는 말은 어제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구호가 무성한들 문화예술이 살아날 리도 없다. 권력과 소비라는 관계망에 얽혀 있는 '문화의 지방분권화'는 더 요원할지 모른다. 중앙정부도 고사 직전이라 판단하고 수차례 공청회를 열어서 만든 '지역문화진흥법'을 이번 가을 정기국회에 상정할 것이라고 한다.
그동안 있었던 많은 논의와 제도가 허위로 끝나고 만 것은 무엇 때문일까. 나는 문화적 자부심의 결여에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고 본다. 앞의 얘기처럼 서울이 지역의 문화유산을 수탈했다고 보는 배타적인 태도야 지나칠 테지만, 우선 역사적으로 모든 '문화'는 지역의 산물이라는 자부심은 가질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 자부심이 지역문화 활성화 논의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자부심을 잃은 지역문화 논의는 공허하기 짝이 없다. 거기에는 문화권력에 대한 욕망과 문화분권에 대한 정당성만 피력될 텐데, 그런 따위로 문화예술의 생산적인 단초가 형성될 리 없는 것이다.
지역문화를 생각해 보는 자리에 느닷없이 만화 같은 이솝의 이야기가 떠올랐던 것은 그 때문이다. 궁벽한 시골에 살았으나, 도시가 그를 보고 경악했다는 이솝의 이야기를 문화예술에서도 보고 싶은 것이다.
엄창석 소설가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