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聯政' 길닦기 VS 길막기 접점 찾을까
7일 오후 2시 청와대에서 열리는 노무현 대통령과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의 회담은 양측의 팽팽한 입장차를 재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이 확실시 된다. 노 대통령은 대연정을 포함한 정치문제를 핵심 의제로 들고나올 것이 분명한 반면, 박 대표는 최종적으로 '연정불가' 방침을 확정해 양측의 접점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노 대통령 연정제의 불발에 그칠 가능성 커
노 대통령의 회담 제의 배경은 연정론 때문이다. 연정의 파트너인 한나라당이 자신의 대연정 제안배경의 진심을 외면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박 대표를 직접 만나 해결하겠다는 생각인 것.
하지만 박 대표의 입장은 요지부동이다. 5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의원들이 연정론에 대해 우려를 표시하자 "(노 대통령을) 직접 만나 불가방침을 밝히고 완전히 매듭을 짓겠다"고 분명히 했다. 유승민 비서실장은 "저쪽에서 연정을 얘기하겠지만 우리는 정치얘기 그만두고 민생에 올인하라고 할 것"이라며 감세, 부동산, 기업투자, 북핵 문제 등을 예로 들었다.
의총에서 김재원 의원은 박 대표에게 "'만에 하나 (노 대통령이) 총리직을 제의하면 밖에서 도울 테니 임기 끝까지 잘해주세요'라고 말씀하고 오시길 바란다"고 조언했다.
▲박 대표, 연정제안 차단 위해 2중3중 안전장치 마련
박 대표는 회담시기와 형식을 전적으로 자신에게 일임한 것을 십분 활용했다. 당초 회담을 수락하고 난 후 청와대 측에서 '6일 개최설'이 나왔으나 5일 의총에서 이를 곧바로 뒤집었다. 청와대 측이 외국순방(8일)을 이유로 꺼려하던 7일을 회담일로 정한 것이다. 이는 청와대 의도에 김을 빼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을 벌겠다는 의도다.
회담에 당초 예상과 달리 정책위의장, 대변인까지 배석하도록 한 것도 '연정론'에 대한 박 대표의 경계심이 발동된 것이다. 전여옥 대변인은 "관례를 찾다보니 과거 정책위의장이 참석한 경우가 있어 그렇게 한 것"이라고 말했으나 유 비서실장은 "증인의 성격이 강하다"고 말했다. 과거 영수회담 후 야당대표에게 늘 '이면합의설'이 따라다닌 전례를 감안할 때 미리 안전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의미다. 이에 청와대 측도 단독회담을 통한 담판이 무산될 것으로 보고 대책마련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