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DGIST) 규모가 20일 열린 이사회에서 부지 10만 평, 인력 200명, 예산 3천759억 원(5년) 수준으로 결정됐다. 30만 평 부지에 10년간 1조700억 원을 투입해 1천 명의 인력을 확보하겠다던 기본계획용역 결과와는 너무나 동떨어진 모습이다.
더 정확히 말하면, 2003년 말 DGIST법이 국회를 통과했을 때 과기부가 제시했던 '예산규모 3천600억 원 수준'이 그대로 실현된 것이다. 이로써 'DGIST를 동남권 R&DB(연구·개발 및 산업화)의 중추기관으로 만들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던 한나라당을 중심으로 한 지역 정치권 주장은 전혀 실현되지 못했음이 판명났다.
'입지'와 관련, 적잖은 전문가들은 '대구경북의 전략적 경계지점'을 주장해왔다. 첫째 이유는 DGIST를 성공시키기 위해선 대구뿐만 아니라 경북의 역량도 함께 모아야 하기 때문이다. 둘째는 대구경북의 산업기반과 대학 등 가용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략적 지점에 DGIST를 설립해서 구미~칠곡~대구~경산을 잇는 대구권 산업클러스터를 완성하자는 것이었다.
하지만 입지는 현풍 일대로 결정됐고, DGIST 규모도 기대보다 훨씬 줄어들었다. 과연 DGIST를 동력으로 대구테크노폴리스를 완성할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드는 게 솔직한 심정이다.
이제 'DGIST의 꿈'을 버리는 것이 마땅할까? 그렇지는 않다고 본다. 대구테크노폴리스에서 DGIST 역할이 '규모'로만 결정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테크노폴리스 성패의 관건은 혁신역량을 갖춘 우수 '기업'의 유치에 있다. 우수기업들이 테크노폴리스 예정지로 모이게 할 만큼 DGIST가 '매력적인가'하는 점이 더 중요할 것이다.
따라서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을 놓쳐서는 안된다. DGIST가 임베디드, 디스플레이, 메카트로닉스(미래형 자동차) 등 지역산업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의 국가적 R&DB를 주도하는 기관으로 '위상'과 '능력'을 갖춘다면, 미래는 밝다. 기업들이 주위에 모여들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DGIST가 그저 그런 여러 국책연구기관 중 하나로 전락할 경우 더 이상 희망은 없다. 대구시와 정치권은 문제의 본질을 직시하고, 해법을 찾기 바란다.
석민기자 sukmin@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