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의 조종사 파업으로 일부 항공편이 결항되면서 산업계 피해도 가시화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18일 하루 만에 30억 원의 피해가 발생했고 항공화물의 주요 고객인 삼성전자, LG전자 등 전자 및 반도체 업계는 대체 항공편을 찾느라 하루종일 분주한 모습이었다.
아시아나항공에 따르면 이날 국내외를 오가는 화물기 7편 중 미주행 4편이 출발하지 못해 23억4천만 원, 국내선 운항중단으로 5억1천만 원, 대형항공기의 중소형 항공기 전환으로 1억5천만 원 등 모두 30억6천만 원의 매출 손실을 안았다. 특히 화물기는 뉴욕행 2편, LA행 1편, 샌프란시스코행 2편 등 400여t의 수출용 화물을 실어나르지 못했다.
20일에는 운항될 화물기 3편과 시드니행 여객편이 국제선으로는 첫 결항하는 등 시간이 갈수록 운항 차질을 빚는 항공편은 더욱 늘어나 피해는 커질 전망이다.
산업자원부 김필구 수출과장은 "아시아나항공 화물 점유율이 20% 정도로 작고 운항노선에 다른 항공사들도 많이 취항해 아직까지 수출화물 운송에 큰 차질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피해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