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 오늘-'로제타 스톤' 발견

입력 2005-07-18 09:05:58

고대 이집트 5천년 역사의 신비를 풀어준 '로제타 스톤'은 많은 역사적 발견이 그러하듯 아주 우연히 발견됐다. 1799년 7월 19일 이집트의 로제타 원정 중이던 나폴레옹 군대가 요새를 지으려 기초공사를 하던 중 발굴됐던 것.

땅 속에서 나타난 길이 114cm, 폭 72cm의 다듬어지지 않은 현무암에는 알 수 없는 글자들이 빽빽하게 적혀 있었다. 세 종류의 글자(상형문자, 서민들이 쓰던 문자, 그리고 그리스 문자)였다. 특히 그리스 문자로 적힌 '프톨레마이오스'는 판에 적힌 문자를 해독하는 지침이 됐다. 단어와 함께 적힌 상형문자를 비교함으로써 그리스 문자의 자음에 해당하는 자들을 찾을 수 있었던 것.

연구를 주도했던 언어학자 샹폴리옹은 1822년 로제타스톤을 해독해 냈다. 그 결과 내용이 기원전 196년 당시 이집트의 왕 프톨레마이오스 5세의 즉위식을 축하하는 것임을 알게 됐다. 이를 토대로 그는 1815년 발굴된 오벨리스크의 글자들도 해독해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프톨레마이오스 9세와 왕비 클레오파트라의 이름이 나왔다.전설과 로마의 기록 속에서나 존재하던 이집트는 비로소 그 실체를 드러냈다.

▲1834년 프랑스 인상파 화가 드가 출생 ▲1988년 평민당 서경원 의원, 체코 경유해 북한에 밀입국.

조문호기자 news119@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