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선친의 '친일활동' 의혹을 받고 있는 열린우리당 소속 김희선(金希宣) 국회 정무위원장의 위원장직 사퇴를 정식 거론하고 나선 데 대해 열린우리당은 이를 '정치공세'라고 반박하는 등 김 위원장의 '거취'를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김무성 사무총장과 나경원 의원 등 국회 정무위 소속 한나라당 의원들은 6일 서울 염창동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김 의원이 독립운동가의 후손이라는 거짓말로 유권자를 속였고, 정무위원회가 국가보훈처를 관할하고 있다는 점에서 김 의원의 정무위원장직 유지는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문란하게 하는 심각한 행위"라며 "정무위원장직과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 모임'의 회장직을 즉각 사퇴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김 위원장은 이에 대해 보도자료를 통해 "한나라당의 작태는 친일문제에 있어 결코 자유로울 수 없는 자신들의 원죄를 희석시키고 과거청산이라는 역사의 물줄기를 바꾸려는 반역사적이고 추악한 정치공세에 다름 아니다"며 "한나라당이 현충일에 진정으로 호국영령을 추모하고자 했다면, 독립군 후손인 '김희선 사퇴요구 이벤트'를 벌일 게 아니라 먼저 스스로를 반성하는 모양이라도 갖추는 것이 올바른 처신"이라고 맞섰다.
열린우리당 서영교 부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군 앞에서 선서까지 했던 다카키 마사오(高木正雄·박정희 전 대통령이 창씨개명한 것으로 알려진 이름)의 딸(박근혜 대표)이 대표로 있는 한나라당이 독립군의 자손이자 친일잔재 청산을 위해 앞장선 김희선 의원에게 친일파라고 뒤집어씌우고 있다"고 주장했다.
(연합)사진: 정무위원회 한나라당 의원들이 6일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부친의 친일 행적과 관련해 논란을 빚고 있는 열린우리당 소속 김희선 국회 정무위원장의 위원장직 사퇴를 촉구하고 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