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가구보다 빈부격차 더 심해
농가 간 소득격차가 최대 12.3배에 달하는 등 도시 지역 가구보다 농촌지역의 빈부격차가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저소득농가의 농가경제 실태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03년 말 기준으로 농촌 가구를 소득 규모에 따라 5단계로 나눴을 때 소득이 가장 많은 5분위(상위 20%)의 연평균 소득은 6천217만 원으로 지난 98년(4천252만 원)에 비해 46.2% 증가했다.
반면 소득이 가장 적은 1분위(하위 20%) 농가의 연평균 소득은 98년 588만 원에서 2003년 503만 원으로 오히려 14.5% 감소했다.
이에 따라 5분위 소득을 1분위 소득으로 나눈 소득 5분위 배율도 98년 7.2배에서 2003년 12.3배로 확대돼 농가 간 소득격차가 더 심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농가 소득격차는 도시 근로자가구의 상위 20%와 하위 20%의 소득 5분위 배율인 5.41배(2004년 기준)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이다
이처럼 빈농, 부농 간 소득격차가 확대되면서 농가소득이 최저생계비(2003년 기준, 4인 가구 101만9천 원)에도 못 미치는 절대빈곤 농가의 비율을 나타내는 농가 빈곤율도 12.4%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는 "농산물 수입개방이 확대되는 추세여서 농업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농업분야 구조조정이 이뤄질 수밖에 없다"며 "농가소득 안정화를 위한 지원방안이 농가 특성에 맞게 차별적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